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저비용 광학렌즈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총장 강성모)는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와 안재욱 물리학과 교수가 신기루 현상에서 착안해 테라헤르츠파 굴절률 분포형 렌즈를 세계 처음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렌즈는 평평한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해 반도체 양산공정으로 제작했다. 기존 대비 최대 100분의 1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제작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광원 추출효율은 4배 이상 향상시켰다.
연구팀은 평평한 실리콘에 테라헤르츠파(300㎛) 파장보다 작은 80~120㎛ 크기의 구멍을 광식각공정으로 만들어 시험한 결과 굴절률이 높은 신기루 같은 물리적 효과를 얻는 데 성공했다.
정기훈 교수는 “자연현상에서 착안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광학특성을 띄는 메타물질을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라며 “물질적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광학소자개발이 더딘 테라헤르츠파 기술 진보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과제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한국연구재단 도약연구자지원사업, 그린나노기술개발사업,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