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모바일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한다

서울시가 전기자동차 이용 활성화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 어른 덩치만 한 크기의 충전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자유로운 충전이 가능해 충전 인프라 확산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일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전에 따른 전기요금 부과까지 가능한 ‘모바일 충전기’ 등 ICT 기반의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모바일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뿐 아니라 개별 전기요금이 부과되는 차량 탑재형 케이블 충전기와 통신 환경을 이용한 것이 핵심이다. 무선통신을 이용해 실시간 사용자 인증과 전기 사용량을 파악해 충전을 위한 전기차 전용 주차장 문제 해결은 물론이고 전기시설 무단 사용까지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지금까지 전기차 충전은 전기요금 부과를 위해 별도 충전기가 설치된 특정 주차 공간에서만 충전과 과금이 가능했다. 하지만 모바일 충전기는 충전기 없이도 일반 220V 전원 콘센트에서 충전하고 사용한 전력량에 따른 요금은 차량 소유자가 가정용 전기 요금처럼 매달 납부한다.

충·방전과 과금·전력량계·통신 모뎀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 충전기는 일반 주차장 등 건물 내 콘센트에 부착된 RF태그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상용 무선망(3G·와이파이)으로 사용 정보를 중앙 서버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다른 사람 소유 건물이나 시설물의 전기를 이용하지만 전기요금은 전기차 이용자가 부담하는 셈이다.

서울시가 친환경 교통 환경 조성을 위해 충전 인프라 구축뿐 아니라 제도 개선과 현실적인 사업 모델까지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다음 달 이마트·홈플러스 등 국내 대형 할인점 4개사·10대 건설사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시범 사업을 벌일 예정이다. 신축 아파트나 빌딩부터 모바일 충전기 이용이 가능한 RF태그 등 통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한국전력에도 아파트·빌딩 주차장 내 일반 콘센트를 이용해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차용 충전 요금제 적용을 요청할 계획이다. 전기요금 누진제 적용이 안 되면서 전기차 이용자 개별 과금이 가능한 요금제를 확정하겠다는 의도다.

서울시 관계자는 “세계 최초로 모바일 충전 인프라가 도입되면 고가의 충전 설비 없이도 자유롭게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데다 전기차 전용 주차장이 필요 없다”며 “다음 달 시범사업을 거쳐 검증한 후 건설사 대형할인점 등과 협력해 확대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