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연구윤리를 강화하는 대안으로 특정 시점 이후 기준을 명확히 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김 후보자는 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연구윤리 의식을 바로잡을 수 있는 안은 뭐가 있나”는 박창식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이 부분을 사실 고민을 많이 했다”며 “일정한 시기까지 잘라놓고 그 이후부터는 정형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다”고 답했다.
그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후속조치와 관련해 “(전교조 법외노조화에 따른) 후속조치를 이행 안 하는 교육청을 어떻게 하겠느냐”는 김학용 새누리당 의원의 질문에 “법의 판단에 의한 것은 법에 맞춰야 한다”고 9일 밝혔다. 김 후보자는 “정치 편향적인 교육이 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저쪽이든 이쪽이든 관계없이 이념편향적인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논문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내용이 들어간 것”이라며 “표절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제자 논문을 자신의 이름으로 학술지에 게재한 것에 대해 “(제자의) 이름을 빼먹은 것은 실수”라면서도 “석사학위, 박사학위 논문은 그 자체가 미간행물이기 때문에 간행물 쪽으로 넣어 주는 것이 (좋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언론기고문 등 대필 의혹과 관련, “교원대에 파견돼 있는 것이 전체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제가 쓸만한 방향, 내용 이런 것을 얘기해주고 자료를 찾아오게 하고, 원고를 내라고 했다. 그러면 제가 써서 제출한 것이다. 부도덕한 짓거리를 하지는 않았다”고 반박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