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소재만 있으면…‘이젠 3D 방직기’

[테크홀릭] 3D프린터의 진화는 멈출 줄 모른다. 피자와 과자 같은 음식을 인쇄하더니 실제로 입을 수 있는 옷이나 아예 주택을 20시간 정도에 지어버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번에는 영국 런던의 한 미술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털실이나 종이, 코튼 등 다양한 자연 소재를 이용해 직물을 짜는 3D 방직기 프로젝트를 진행해 눈길을 끈다.

Photo Image

3D 방직기를 만든 건 로열칼리지오브아트, 런던왕립미술대학을 졸업한 나이지리아계 미국인인 올루와세이 소사냐(Oluwaseyi Sosanya). 그는 졸업 작품으로 3D 방직기를 만들었다.

Photo Image

원사는 수납부에 배치하고 기계적으로 부분으로 옮겨지는 형태를 취한다. 본체를 보면 수많은 철제 파이프가 정렬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뜨개질을 하는 털실은 파이프 사이를 누비듯 감기면서 이 방식 파이프를 돌아다닌다.

Photo Image

방직물로 만든 물체는 벌집 구조를 취해 강도가 뛰어나다. 제작자는 용수철의 힘을 이용해 장력을 가해 자유롭게 기계 안을 둘러싼 모습에서 영감을 받았다면서 자연소재를 바탕으로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는 기계를 이용해 구두창 등 다양한 소재를 만들었다. 면이나 울, 종이 등 자연소재로 만들고 액체 상태 실리콘 속에 가라 앉혀서 전체 모습을 고정시킨 것이다. 실제로 신어 봐도 전혀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고 질감은 물론 가벼운 것도 장점이다.

제작자는 실이라는 자유로운 소재의 특징에 강도를 줄 수 있는 특성에 주목해 이 소재를 이용해 의료나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기대하고 있다. 관련 내용 원문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3D WEAVER from Zuzanna Weiss on Vimeo.

전자신문인터넷 테크홀릭팀


이석원 기자 techholi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