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매매량이 증가하는 휴가철을 앞두고 수도권 일대 일부 중고차 판매상과 렌터카 업체를 상대로 주행거리를 상습적으로 조작한 일당이 검거되는 등 자동차 거래에 주의가 요구된다.
이들은 중고자동차 시세가 주행거리에 따라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차이가 나며, 구매자가 주행거리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을 악용했다. 렌터카의 경우, 무상보증 수리기간(5년, 10만km 이내)을 연장하기 위해 주행거리를 조작한 것으로 경찰 조사결과 드러났다.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구매할 차량의 꼼꼼한 상태 체크가 필수. 아날로그 방식의 계기판의 경우 숫자 정렬상태가 흐트러져 있고 날카로운 물건으로 상처가 난 흔적이 있다면 의심해 봐야 한다. 또한 디지털 방식의 계기판의 경우 정비업소에서 기록된 주행거리와 계기판의 주행거리를 비교해 주행거리에 비해 각종 스위치의 마모상태나 시트의 상태가 불량하면 주행거리 조작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하지만 주행거리를 비롯해 사고차량 여부 및 차량 점검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믿을 만한 자동차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하다.
카에이전트 런엔카(http://www.runencar.com/) 관계자는 “자동차는 주행거리에 따라 엔진, 트랜스 미션 등 구동 관련 부위의 마모 정도가 다르고, 주행거리가 길어질수록 기타 부품의 조립상태가 이완되어 승차감이 떨어지기 마련”이라며, “유난히 깔끔한 상태에 가격이 저렴하다면 의심해 볼 필요가 있고, 주행거리와 시운전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