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홀릭] 쿼드코어나 옥타코어 등 프로세서 하나에 코어 여러 개를 갖춘 멀티코어가 PC는 물론 스마트폰 등에서 쓰이고 있다. 그런데 이런 코어를 36개나 집어넣은 36코어 프로세서 시제품을 미국 MIT 연구원이 개발했다고 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06/27/techholic_27093024766026.jpg)
MIT 전기공학/컴퓨터과학 리-시우안 페(Li-Shiuan Peh) 교수는 이전부터 멀티코어 칩에 들어가는 코어 수가 많을수록 코어간 통신 문제가 커진다는 점에 대해 지적해왔다. 미래에는 코어 사이에 라우터 같은 걸 배치해서 데이터 교환을 정리하는 이른바 미니 인터넷(Mini Internet) 같은 형태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06/27/techholic_27093024806592.jpg)
현재 멀티코어는 듀얼이나 쿼드, 옥타 등이다. 코어끼리는 버스라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코어끼리 통신할 때에는 코어 하나가 버스에 대한 독점 권한을 갖게 된다. 그런 사이 다른 코어는 통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 원래 전송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페 교수 등이 발표한 36코어 프로세서의 경우 인접한 코어와 직접 연결하는 네트워크 온 칩(NoC)를 특징으로 삼고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 중인 코어를 피해 통신 경로를 설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동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NoC의 문제는 데이터가 추적 불가능한 경로를 통해 목표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이는 프로세서 코어가 가끔씩 메인 메모리 액세스 전에 다른 코어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액세스하려고 하면서 생기는 것.
이 문제는 지금까지 버스를 이용한 코어 연결 방식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패킷을 찾아주는 칩을 장착하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36코어 칩을 통해 실제로 응용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 수정할 예정이다. 또 이 칩은 앞으로 누구나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 하드웨어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한다. 관련 내용 원문은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테크홀릭팀
최필식 기자 techhol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