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아마존 대망론?

요즘 인터넷이나 유통 업계 최대 관심사는 아마존의 한국 진출이다. 아직 뚜렷한 활동이 포착되지는 않고 있지만, 이 바닥 사람들의 모임에선 아마존 얘기가 끊이지 않는다.

Photo Image

온라인 책 판매에서 시작해 전자상거래와 물류 전반과 전자책·음악 등 디지털 콘텐츠, 전자책 리더와 태블릿PC, 앱 마켓, 클라우드 플랫폼까지 끝없이 확대하는 아마존의 움직임에 긴장감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이런 긴장감과 함께 한편에서는 아마존 진입을 시작으로 국내 인터넷이나 전자상거래 환경에 변화의 물결이 일기를 바라는 희망 섞인 기대도 나온다. 온라인 결제나 상거래를 불편하게 하는 각종 규제나 기술적 제약을 재검토하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 사람이 적지 않다.

아마존은 클릭 한번으로 구매를 끝내는 ‘원클릭’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선 이런 강점을 발휘하기 힘들다. 개별 기업이 고객 신용카드 번호를 저장하는 것이 금지돼 있기 때문에 원클릭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PG 관련 제약도 적지 않다.

아마존이라는 ‘외세’를 등에 업고 변화를 일으키려는 모습이 보기 안 좋을 수도 있다. 이런 저런 제약 때문에 아마존의 한국 진출이 쉽지 않거나, 진출해도 큰 힘을 못 쓰리란 예상도 나온다.

하지만 아마존 대망론이 나올 정도로 불편하고 답답한 우리 결제 환경에 대한 논의는 지속돼야 한다. 업계 관련자들은 종종 “결제만 보다 자유로워지면 우리나라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금방 2배 이상 커질 것”이라고 농담처럼 얘기한다. 자유로운 결제는 소상공인이나 창작자들에 더 많은 수익이 돌아감을 뜻한다. 창조경제의 인프라다.

물론 더 많은 보안 사고나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철통같은 보안 장벽을 쌓고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는 지금도 개인정보는 새어 나가고 있다.

국내 사용자들이 해외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그들은 싸고 편리한 곳을 찾아 언제든 이동할 수 있다. 스마트폰, SNS, 직구 열풍 등은 모두 우리 소비자가 세계 시장에 통합됐음을 보여준다. 언제까지 국내서 활동하는 기업이나 사람에게만 규제를 강요할 수 있을까.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