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 받아 스스로 교통사고를 막는 `차량 간(Vehicle-to-Vehicle, V2V)` 통신 기술이 도로 위로 나온다. 연구 단계였던 이 기술 확산에 미국 정부가 앞장섰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4/02/04/527193_20140204130904_335_0001.jpg)
4일 CNN에 따르면 미국 교통부(NHTSA)는 자동차에 차량 간 무선통신 기술을 장착토록 하는 규제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기대다. 음주운전이나 기계적 이상을 제외한 교통사고 중 최대 80%를 막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V2V 통신 기술은 차량끼리 위치·속도 정보를 주고받아 스스로 브레이크 등 동작을 할 뿐더러 운전자에게 경고도 한다. 근처 차량이 갑자기 차선을 바꾸거나 운전자 시야 사각지대로 이동하면 알람을 주는 식이다. 추돌을 피하거나 차선을 바꾸고 교차로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동 제동이나 자동운전은 아니다. 외신은 V2V 통신 기술 확산으로 스스로 운전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도 한발 앞당겨질 것으로 관측했다. 차량과 차량에서 더 나아가 차량과 보행자, 차량과 자전거간 통신 기술로 발전할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수 년 간 V2V 통신 기술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다. 미시건주에서 3000여대 차량에 V2V 통신 기술을 적용한 시범 프로그램도 1년 정도 진행했다. 곧 분석 보고서를 내놓는다. 보고서 발간 후 자동차 업체의 의견을 듣고 기술규정을 마련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해 실제 생산까지는 짧게는 몇 개월에서 길게는 수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상세한 규제는 2017년 끝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임기 내 공표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내 자동차의 절반 이상이 차량 간 무선통신을 하기까지는 최소 15년이 걸릴 것이라고 현지 언론은 예상했다. 장비 장착을 위한 추가 생산비는 대당 100~200달러(약 10만9600원~21만7200원) 정도로 추산했다.
머큐리뉴스는 이미 여러 자동차 업체가 속도 조절부터 차선 유지, 사각지대 탐색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을 내놓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올해 출시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신형 `S-클래스`는 정지·감속 상태를 파악하는 `디스트로닉 플러스` 기능을 갖췄다. 도요타가 내놓은 차량은 고사양 카메라와 레이더·제어 소프트웨어가 달려 차선을 알아차리고 안정적 위치에서 주행하게 돕는다. 테슬라도 `모델S`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 센서를 접목한 안전 기능을 개선했다.
앤서니 폭스 미국 교통부 장관은 “V2V 통신 기술은 안전벨트나 에어백처럼 차세대 자동차 안전장치의 개선을 이뤄낸다”며 “충돌방지 기술로 미국이 세계 자동차산업에서 선두주자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