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팀 버너스 리 주축
글로벌 IT기업이 보다 싼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저가인터넷연합(A4AI, Alliance for Affordable Internet)을 결성했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비싼 요금 때문에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목적이다. 정책 개발과 인프라 공유 촉진, 규제 개혁을 위한 공공기관 참여 독려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보다 싼 인터넷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글로벌 연합 `A4AI` 출범···구글과 팀 버너스 리 주축](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10/08/484262_20131008151100_097_T0001_550.pn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10/08/484262_20131008151100_097_0001.jpg)
A4AI 핵심 관계자들은 나이지리아 수도 아부자에서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A4AI에는 구글과 페이스북,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시스코 같은 IT기업뿐 아니라 영국 국제개발부(UK AID), 미국 국제개발처(US AID)를 포함한 공공기관, 학술기관과 사회단체 등 30여 곳이 참여한다. 글로벌 후원사인 구글과 웹 창시자 팀 버너스 리가 주축이 돼 연합을 이끈다. 월드와이드웹 파운데이션이 사무국 역할을 한다.
팀 버너스 리는 성명서에서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경제적 이유 때문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아프리카 모잠비크는 1GB 데이터를 사용하는 데 일반 시민 월급 두 달 치를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조사에 따르면 세계 인터넷 사용 인구는 27억명에 이르지만 여전히 40억명 이상이 소외돼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인터넷 비용이 국민 평균 월급의 30%를 차지한다. 일부 아프리카 국가는 더 심각하다. 높은 인터넷 가격은 의료와 교육, 과학 분야의 진보를 가로막는다.
A4AI는 UN 인터넷위원회가 목표하는 `월평균 수입의 5% 미만` 이하로 인터넷 가격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회원사가 각국 정부와 논의해 정책과 규제 변화를 시도할 방침이다. 정부나 인터넷 기업이 참조할 수 있는 `정책 및 규제 모범사례`를 만들고 장려한다.
인터넷 활용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조사를 수행한다. 실제 증거에 기초한 성공사례를 발굴해 공유하는 일도 연합이 과제 중 하나다. A4AI는 해마다 `연례 경제성 리포트`를 발간할 계획이다. 오는 12월 첫 번째 결과물이 나온다. 기술 지원과 메시지 확대를 위해 회원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팀 버너스 리는 “인터넷 확산을 저해하는 것은 가격을 높게 책정할 수밖에 없는 정책 때문”이라며 “이런 정책과 가격 장벽을 허물고 더 많은 사람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A4AI 개요
자료:A4AI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