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이 다음달 정책금융공사(정금공) 통합 추진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다. 정기국회에서 산은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내년 7월 `통합 산은`을 출범 시키고 정금공 합병을 위한 `통합산은설립추진단(가칭)`을 설치할 예정이다.
28일 산업은행은 본점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정금공과 조직과 인력 통합 방안을 발표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자산건전성 악화 우려와 기업 지원 축소 논란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우선 산은법 개정을 위해 사전 준비 TF를 구성·운용키로 했다. 통합업무 추진 로드맵을 만들고, 전략·인사·재무,·법무·IT부문 통합 밑그림을 그린다. 산은법이 통과하면 내년 7월 통합추진 실무조직인 `통합산은설립추진단(가칭)`을 설치할 예정이다. 정책금융공사 인력도 포함된다. 추진단은 실사 진행에서 합병 계약 체결, 합병 등기 등 통합 전반에 걸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성기영 산업은행 부행장은 “인위적인 인력 구조조정 없이 정금공 직원 전체를 승계할 방침”이라며 “정규직 뿐만 아니라 계약직원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효율적인 통합 조직 운용을 위해 정금공의 기업금융 등 중복 업무는 산은 영업조직으로 일원화하고 온렌딩과 간접투자 업무 등 정금공의 고유기능은 별도 부서를 신설키로 했다.
통합 후 잉여 인력 발생은 불가피 하지만 구조조정이 아닌 채용규모 축소 등을 통해 해소한다는 복안이다. 다이렉트 뱅킹 등 개인금융 폐지와 관련 산업은행은 기존 고객은 그대로 유지하되, 통합 산은이 출범하는 내년 7월을 기점으로 전면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수신금리에 대해서도 인위적인 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성 부행장은 “산은 점포는 국내은행 대비 1.1%, 개인 예수금도 3.3%에 불과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 적”이라며 “개인금융 인력 또한 타부서로 전환 배치하는 등 조직 운용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정금공과의 통합 시 자기자본비율(BIS) 하락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 가능성에 대해 성 부행장은 “6월말 기준 0.7%P 소폭 하락이 예상된다”며 “BIS 비율 제고를 위해 후순위채 발행 등 자기자본 확충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한 BIS비율 하락으로 정상적인 정책금융 수행이 곤란하다는 지적에 대해 정면 반박한 셈이다. 중소, 중견기업 자금 공급액은 통합 산은 출범 후에도 50%이상을 지원하고, 정금공의 온렌딩 제도를 승계해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성 부행장은 “일각에서 자금공급 여력이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는데, 정금공과 통합후 채권발행 한도는 630조원으로 여유가 충분하다”며 “자금조달 여력도 충분하기 때문에 자금공급 축소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통합으로 인해 벤처 펀드 등 간접투자 지원 축소에 대해서는 산은이 직접 투자 중심으로, 정금공은 간접투자 형태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