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 2.3%로 하향 조정

한국경제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2.9%에서 2.3%로 하향 조정했다.

25일 한국경제연구원은 `KERI 경제 전망과 정책 과제`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3% 미만에 그치면서 연간 성장률도 2.3%로 내려앉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하반기 예측 성장률은 각각 1.7%, 2.9%다. 때맞춰 전국경제인연합회·대한상공회의소·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 3단체도 자체 경기 전망 조사 결과, 기업 모두 하반기 경기 전망에 대한 부정적으로 답했다. 관련기사 20면

한경연은 지난 3월 우리나라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로 제시했다. 상반기 2.5%, 하반기 3.3%다. 하향 조정과 관련, 한경연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중국의 질적 성장 전환, 일본 아베노믹스 부작용 등으로 대외 여건 개선이 불투명해지고 있다”며 “가계부채 디레버리징, 주택경기 부진, 과도한 경제민주화 논의 등으로 내수 회복이 제약될 가능성이 높아 하반기 및 연간 성장률을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중 민간소비는 가계부채 부담 증가, 고용증가의 질적 악화, 주택 매매가 및 전세가 가격 조정 등의 여파로 2.0%(연간 1.7%)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소비자물가는 수요 측 상승압력이 낮고 국제원자재 하락, 원·달러 환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에도 2.4%(연간 1.8%)의 낮은 증가율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경상수지는 낮은 수출회복세에도 불구하고 국내경기 회복 지연,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수입증가세가 크지 않아 하반기에도 208억달러 규모의 흑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원·달러 환율은 경상수지 흑자, 양호한 자본시장 여건을 바탕으로 하락기조가 예상되지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달러강세가 하락 폭을 제약하면서 하반기 평균 1086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철강, 자동차, 반도체, 선박 등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업종이 글로벌 경기부진 및 엔저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며 “정부의 외환시장 안정화와 함께 산업별, 기업규모별 시장기능 활성화 방안을 모색과 기업들의 비가격경쟁력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제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 2.3%로 하향 조정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