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여름철 전력난에 집단에너지사업자가 울상이다. 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로 전력을 생산하려 발전소를 가동하지만 정작 주력 생산품인 열은 수요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버리는 열에 별도 비용정산을 요구하기도 했지만 관련 회의가 늦어지면서 결과는 오리무중이다.
집단에너지사업자가 여름 전력난으로 전력공급에 동원되면서 적자경영에 허덕이고 있다. 전력부족으로 매년 여름만 되면 겪는 어려움이지만 올해는 대규모 원전 가동 중단으로 그 어려움이 일찍 찾아왔다.
집단에너지 설비는 전력보다 열 생산에 최적화된 설비다. 열 수요가 적은 여름에는 설비 가동률이 그만큼 떨어져야 정상이다. 하지만 전력난으로 전력거래소 급전지시가 집단에너지 설비까지 전달되면서 사업자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설비를 가동하고 있다. 주 생산품인 열은 팔 곳이 없어 그대로 버려진다.
매년 같은 문제가 반복되면서 올해는 업계에서 버려지는 열 요금을 추가정산하는 제도변경을 신청하기도 했다. 전력위기 상황으로 적자를 감수한 설비가동인 만큼 생존을 위한 손익분기는 맞춰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원전사고로 전력당국에 비상이 걸리면서 이를 심사하는 회의가 계속 늦어지고 있다.
회의가 속개된다 해도 결과를 낙관하기 힘든 상황이다. 관계부처와 한국전력공사 측에서 이미 전기요금 인상요인이 될 수 있는 제도변경에 난색을 표한 상태다. 집단에너지 업계 내에서도 버려지는 열의 문제점은 인정하겠지만 이에 대한 별도 정산은 쉽사리 풀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름철 열 수요로 대안으로 언급되고 있는 지역냉방은 시장이 작아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흡수냉동기를 이용해 열로 냉방을 할 수 있어 전력피크 감축효과도 있지만 전기에어컨 대비 설치비가 100만원가량 비싸 의무 사용 건축물이 아닌 이상 건설사가 도입하지 않고 있다. 업계는 집단에너지 구역 내 대형 상가 및 공공건물 등으로 한정돼 있는 열 냉방 의무 건축물 범위를 늘리거나 시장 확대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수철 안산도시개발 부장은 “발전설비 가동이 본격화되는 이번 주부터 당장 하루 2000만원 적자가 예상된다”며 “열 요금 별도 정산도 없고 지역냉방 시장도 작은 상황에서 여름 피크가 지속될수록 업계는 도산을 걱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