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보 당국의 정보수집 활동에 협조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자 미국 IT 기업들이 “차라리 모든 정보를 공개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2일 보도했다. 파문이 갈수록 확산하는 가운데 자신들이 이번 사태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추가 피해를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구글은 공식 블로그에서 에릭 홀더 법무장관과 로버트 뮬러 연방수사국(FBI) 국장에게 “국가안보국(NSA) 정보수집 프로그램 프리즘을 통해 제공한 정보의 내용 등을 공개하게 해달라”는 내용의 공개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구글은 최고법률책임자 데이비드 드러먼드 수석부사장 명의로 된 서한에서 “언론에서는 정부기관이 고객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글이 협조하고 있는 것처럼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명백하게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회사가 발간하는 `투명성 보고서`에는 해외정보감시법으로 인해 NSA 요구사항이 포함돼 있지 않다”며 “이 요구사항을 공개하지 못해 오해를 사고 있다”고 주장했다.
드러먼드 부사장은 “정부의 정보수집 관련 내용을 모두 공개하면 우리가 정부에 협조한 내용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것과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며 “우리는 숨길 게 없다”고 강조했다.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등도 이 날 정보기관의 데이터 요청 내용을 공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페이스북은 “조만간 `투명성 보고서`를 펴내겠다”며 “보고서에 미국 정부가 요청한 국가 안보관련 정보의 규모와 범위를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미국 정부에 촉구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국가 안보와 관련해 (NSA가) 요청한 사항의 전체적인 범위를 투명하게 공개하면 이 사안을 이해하고 논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보 제공은 적법한 범위 내에서 이뤄졌다”고 전했다. 야후는 “개인의 사생활과 안보의 중요성을 모두 인식하고 있다”며 “우리는 투명성이 공공의 신뢰를 쌓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광고가 주요 수입원인 인터넷 기업은 대중의 평가에 민감하다. 반면 이번에 유일하게 거명되지 않은 트위터는 NSA의 요청을 거절한 것으로 보인다고 워싱턴포스트는 보도했다. 트위터는 미국 시민단체 전자프런티어재단(EFF)이 선정한 가장 철저하게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는 업체로 꼽히기도 했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