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구글 등에서 세계 각국 이용자 정보 수집…인터넷 빅브라더 현실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가 버라이즌에서 매일 수백만 건 통화 기록을 수집한 것으로 드러난 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페이스북과 구글 같은 인터넷 기업에서도 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밝혀져 파장이 확산될 전망이다.

Photo Image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국가안보국(NSA)과 FBI가 2007년부터 매년 200억원 이상을 투자해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야후, 구글, 페이스북, 팔토크, AOL, 스카이프, 유튜브, 애플 등 9개 기업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 `프리즘` 프로그램을 추진해왔다고 7일 보도했다.

프리즘은 NSA와 FBI가 9개 회사 중앙 서버에 접속해 음성, 영상, 사진, 이메일, 문서, 파일전송, 접속 기록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보 분석을 통해 개인이 사이버 공간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프리즘은 부시 정권 시절 인터넷과 이메일 정보를 수집하던 것과는 규모와 방법, 범위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구글과 페이스북, 애플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은 세계 수십억명 인터넷 사용 정보를 미국 정부가 알고 있다는 뜻이다.

해당 업체에서 정보를 전달받는 게 아니라 정부가 기업 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것도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NSA는 원하는 방식으로 언제든 특정인의 정보를 파악하고 수집할 수 있다. 화상회의 정보도 포함되기 때문에 주요 기업의 비밀회의 내용을 상세하게 알 수 있다.

부시 행정부는 2004년부터 해외정보감시법원(FISA)에 새로운 형태의 감시 제도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테러와 스파이 활동을 미연에 방지하는 게 목적이다. FISA는 정부가 영장 없이도 인터넷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미 정부는 프리즘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에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2006 USA투데이가 정부의 인터넷 정보 수집을 폭로하면서 비난 여론이 거세졌지만 프리즘 프로그램에 수집되는 정보는 오히려 늘어났다.

프리즘 프로그램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전망이다. 사회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빅브라더`의 배후에 정부가 있다는 사실이 명백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인터넷 활동 자유를 제한하는 수준이 아니라 개인 사상과 행동을 낱낱이 파악할 수 있어 비난 여론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애플을 비롯한 해당 기업들은 프리즘 프로그램은 들어본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조 설리반 페이스북 최고보안책임자(CSO)는 “페이스북은 어떤 정부 기관에도 직접적인 서버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 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만 정보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프리즘 프로그램 참여 9개 기업 및 참여 연도

마이크로소프트(2007)

야후(2008)

구글(2009)

페이스북(2009)

팔토크(2009)

유튜브(2010)

스카이프(2011)

AOL(2011)

애플(2012)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