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253개 데이터센터 통합 프로젝트 효과 오리무중

미국 정부가 예산과 전력 절감을 위해 추진하는 데이터센터 통합 프로젝트에서 정확한 효과를 파악하지 못해 고심한다고 CIO매거진이 15일 보도했다. 세부적 효과 측정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 무작정 프로젝트에 착수했다는 비난이 거세다.

Photo Image

미국 정부는 2010년 데이터센터를 통합 계획을 세웠다. 2015년까지 전국 공공기관이 활용하는 3133개 데이터센터 중 40%에 해당하는 1253개를 없애, 예산 3조원을 줄이는 게 목표다. 지난해 말까지 24개 기관이 참여해 420개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했다. 2년 내 548개 데이터센터를 추가로 합친다.

대부분 데이터센터 서버 가동률이 5~10%에 그친다는 게 통합의 이유다. 공공기관이 앞장서 데이터센터를 줄이면 예산을 절감하고 민간기업 동참을 유도할 수 있다. 단순한 비용절감 외에도 친환경 기류를 확산한다는 의미도 담는다.

문제는 프로젝트 마무리까지 18개월이 남았지만 비용이 얼마나 절감됐는지 파악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비용 절감 효과를 증명하지 못하면 더 이상 프로젝트를 이어갈 명분이 사라진다. 미 의회와 예산관리국은 뒤늦게 데이터센터 통합 효과를 파악하는 방안 마련에 나섰다.

데이비드 파우너 미국 예산관리국 IT관리부 이사는 “데이터센터 통합 프로젝트는 예산 절감을 위한 매우 현실적인 프로젝트로 평가 받는다”며 “하지만 비용이 얼마나 절감됐는지 계산하기가 쉽지 않아 아직은 어떤 효과가 있는지 말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