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는 그동안 마련한 그린카드, 탄소성적표지인증, 녹색매장 등 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녹색소비를 위한 교육과 홍보에 집중하고 해외에는 우리의 제도가 필요한 국가를 찾아 개도국은 녹색라벨링, 선진국에는 그린카드를 전파할 계획입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cms/uploadfiles/afieldfile/2013/04/08/413352_20130408173837_044_0001.jpg)
우리나라 저탄소 생활실천을 위한 다양한 제도 도입의 선구적 역할을 한 문승식 환경산업기술원 녹색생활본부장. 문 본부장의 아이디어는 20년 전 환경마크에서 지금의 그린카드까지 모든 녹색소비 제도에 담겨있다. 그는 이제 20년 뒤 소비자들에게 녹색소비 교육을 실시하는 것과 우리 제도를 해외로 전파해 관련 기술과 인프라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
문 본부장은 “환경마크 도입 당시 인증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돼야 하는데 교육·홍보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돌파하는 방안이 늘 고민거리였다”며 “돌파구를 찾은 것이 이웃나라 일본에서였다”고 밝혔다.
2000년대 초반 녹색구매법을 도입한 일본이 공공기관 의무구매 에코프로덕트 박람회를 개최해 10년 뒤에 50조엔 규모의 녹색제품 시장이 열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공공기관을 통한 녹색소비 촉진 아이디어를 여기서 얻은 것이다.
문 본부장은 “산업계는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으로 녹색소비를 유도하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민간 시장에 대한 대책이 필요했고 그래서 등장한 것이 그린카드”라고 설명했다.
국민·기업·정부가 참여하는 녹색생활소비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그린카드는 출시 20개월 만에 500만장 발급을 돌파했다.
문 본부장은 “그린카드·녹색매장 등으로 녹색소비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도가 높아졌지만 지방에 가보면 현장에서 녹색소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녹색매장을 중심으로 지역 소비자단체, 시민단체와 함께 학생들을 대상으로 녹색소비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해외에서 녹색정책 선진국인 우리나라의 제도에 대한 관심, 특히 그린카드를 도입하고자 하는 곳이 많다”며 “UNEP와 함께 아시아 10개국에 녹색라벨링, 녹색구매제도 등을 도입하도록 할 계획이고, 우리제도가 도입되면 기반 시스템으로 우리나라 기업의 제품이 보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본부장은 “일본을 통해 벤치마킹한 녹색소비 제도를 우리가 꽃피워 아시아에 전달하면, 그야 말로 `청출어람`하는 격”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 행동 변화는 오래 걸리고 힘든 일이기 때문에 녹색소비를 정착시키겠다는 장기목표와 비전을 갖고 지속적인 투자와 애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