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난방업계와 LPG업계가 대선을 앞두고 한숨을 내쉬고 있다. 올해 마지막 요금 조정시기인 12월에 누적 인상요인을 반영, 인상한다는 계획이었지만 대선을 앞두고 물가안정에 주력하는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12월 1일자로 단행예정이던 열요금 5.52% 인상을 취소, 동결한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지난 9월 열요금 조정시기 당시, 연료비 변동에 따라 5.52%의 인상요인을 12월부터 반영한다고 지식경제부에 신고했지만 계획을 변경한 것이다.
LPG 수입·판매사인 E1도 12월 LPG 공급가격을 11월 수준으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2월 LPG 판매가격은 프로판 ㎏당 1344.4원, 부탄 ㎏당 1730원(ℓ당 1010.32원)을 유지하게 됐다.
지역난방업계는 동절기 열수요가 많은 만큼 생존차원에서라도 반드시 열요금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GS파워, 안산도시개발 등 대다수 사업자들이 지역난방공사의 요금을 준용하고 있어 줄줄이 동결에 들어가야 할 상황이다.
더욱이 민간업체들은 지역난방공사보다 높은 10%대의 인상요인이 발생했고 전력판매 등 매출을 기대할 수 없어 열수요가 가장 많은 동절기에 적자폭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LPG업계도 지난 8월부터 누적된 인상요인을 반영하지 못해 어려운 상황이다. 올 들어 국제 가격은 지난 8월부터 4개월 연속 올랐다. 그러나 이들 업체가 국내 공급가를 인상한 것은 10월 뿐이다. 8월엔 가격을 내렸고 9월, 11월, 12월엔 동결했다. 12월 LPG 공급가는 ㎏당 30원 가량의 인상요인이 발생했다. 업계 추산으로 지난 4개월간 누적된 인상요인은 ㎏당 150원에 달한다.
지역난방업계와 LPG업계가 인상요인을 요금에 반영하지 못한 이유는 정부가 12월 대선을 앞두고 공공요금으로 인식되고 있는 에너지요금 인상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역난방업계 관계자는 “대형 지역난방사업자는 전력판매로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중소형사업자들은 이마저도 기대할 수 없고 원가구조도 훨씬 높아 일부 사업자를 제외한 대다수가 수년째 적자를 지속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함봉균·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