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이 경찰청, 소방방재청, 지하철 등 주요 재난필수기관의 통신설비를 조사한 결과 50%가량이 내구연한이 지난 낙후된 설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통신 장비의 내구연한은 최대 10년인데 상당수 기관이 10년 전에 도입된 무전 단말을 아직 사용하고 있다. 주요 재난대응 기관의 통신시스템 절반 이상이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재난 발생 시 통신 불통으로 대규모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현장에서는 오래 된 통신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휴대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휴대폰 통신은 위급 상황의 동보나 정보 공유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일부 기관에서 최근 최신 단말로 교체하기도 했지만 수도권 지역을 제외한 곳곳에서 낡은 장비를 쓰고 있어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보기 힘든 상황이다. 게다가 같은 기관조차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다 보니 지역과 기관을 넘나드는 공조업무가 원활할 리 없다고 한다. 시민 안전을 책임져야 할 기관의 통신설비가 오히려 위험을 부추기는 셈이다.
문제는 이처럼 낡은 통신장비를 사용하는 기관이 설비 교체 문제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점이다. 현재 진행 중인 통합 국가재난안전통신망사업과 연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찰, 소방 등 통신 시스템은 국가 재난망 사업과 같이 진행해야 하는 만큼 낡았다고 함부로 교체할 수 없다는 점이 이들 기관의 고민이다.
재난 통신설비 업그레이드 작업이 각 기관별로 자체적으로 추진될 경우 자칫 난개발, 난구축도 우려된다. 따라서 그 전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을 시급하게 구축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 안전이다. 범국가적 재난안전통신망 구축과 그에 발맞춰 각 재난기관이 통신설비 업그레이드 작업에 빨리 착수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SK하이닉스, 美 인디애나 법인장에 이웅선 부사장 선임
-
2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3
[ET톡]미래차 시대, 뭉쳐야 산다
-
4
[ET시론] 미래의 관세청, AI로 그리다
-
5
[ET대학포럼] 〈209〉첨단기술 패권경쟁 시대,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
-
6
[ET단상]국내 중소 방산업체의 선제적 CMMC 인증 필요성
-
7
[기고] 디지털 기술 발달과 보이스피싱
-
8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46〉AI시대에 부합하도록 계정 관련 약관 개정이 필요하다
-
9
산단공 경북본부-한전 경북본부, 구미국가산단 에너지 데이터셋 구축 업무협약
-
10
[미래포럼]변화의 물결 속,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