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투자은행(IB)들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대로 낮추는 등 경기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10일 금융투자업계와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주요 외국계 IB들이 최근 내놓은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2.6%였다. 지난 7월 말 기준 2.9%에서 한 달여 만에 0.3%포인트 낮아졌다.
기관별로는 UBS가 2.9%에서 2.1%로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낮췄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2.6%)을 고려하면 하반기 성장률이 1.6% 정도로 추락할 것으로 전망한 셈이다.
상반기 보다 하반기가 더 우려스럽다는 얘기다.
IB별로는 JP모건은 2.9%에서 2.5%로 하향조정했고 도이치방크는 3.0%에서 2.6%로 내렸다.
모건스탠리와 바클레이즈도 각각 2.8%, 2.7%로 전망치를 낮췄다.
유럽 재정위기와 세계적인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져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가 하반기 고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계속 떨어지고 있다.
최근 각종 경제지표를 고려하면 하반기 성장률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보다 0.3% 성장했다. 부진한 경기 상황이 반영돼 지난 7월 발표한 0.4%보다 더 낮아졌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분기 0.2% 성장 이후 최저치다.
수출 부진도 계속되고 있다. 8월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6.2% 감소한 429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올해 1월 412억2000만 달러 이후 가장 적은 수출액이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 전망도 암울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대중국 수출은 745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연간 마이너스 성장률이 예고됐다.
임동민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한국 경제의 관건은 역시 유럽 경제의 회복 여부”라며 “이와 함께 연말 미국과 중국의 소비가 살아나면 수출이 회복돼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