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셰일가스의 자주개발률을 20%로 확대하기로 했다. 국내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물량 가운데 셰일가스 비중을 2017년 7%에서 2020년 20%로 수정했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민관협의회에서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자원개발분야 수출입은행 여신 규모를 올해 2조8000억원에서 2020년 21조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지식경제부는 6일 에너지 및 셰일가스 관련업계 대표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갖고 `셰일가스 개발·도입과 활용전략`에 대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조석 지경부 차관은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 브리핑을 통해 “2020년까지 국내 LNG 도입량의 20%를 셰일가스로 확보할 계획으로 중동·동남아에 치중된 천연가스 도입선을 북미 등으로 다원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경부는 `가스개발-액화플랜트 건설·운영-수송·도입`을 연계한 `한국형 셰일가스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연말에 한-캐나다 천연가스 포럼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2020년까지 셰일가스 개발기술을 선진국 대비 8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셰일가스 개발기술 마스터플랜`을 올해 안에 수립한다.
셰일가스 국내 수입 물량도 대폭 늘어난다. 지경부는 2017년부터 미국 사빈패스 LNG를 연간 350만톤씩 20년간 도입하고 현재와 같이 향후 가격이 하향 안정세를 유지할 경우 2020년부터 연간 800만톤 이상 물량을 늘릴 계획이다. 특히 셰일가스 생산광구 매입 등 투자확대를 통해 일일생산량 15만배럴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자주개발 물량 가운데 셰일가스 비중을 지난해 3.4%에서 2020년 20%로 늘린다는 목표다.
셰일가스 투자 확대를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한다. 증자·차입을 통한 석유공사와 가스공사의 투자재원을 마련하고 2020년까지 한국수출입은행의 여신 규모를 올해보다 7배 증액한 21조원으로 대폭 늘린다.
셰일가스 개발기술 마스터플랜도 연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민관 공동사업 수행과 R&D 추진을 통해 수평시추·수압파쇄 등 핵심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셰일가스 도입과 자주개발물량 확대에 따른 국가 에너지믹스에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미국과 일본의 신규 발전설비 60%가 가스발전으로 확충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국내 가스발전 설비의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조 차관은 “발전원가만을 계산하면 가스가 원전과 석탄발전 등 기저발전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하지만 분산형 전원 필요성을 고려하면 LNG 발전소의 비중 확대 가능성이 높은 만큼 내년 초 확정될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는 분명히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표/ 셰일가스 도입 인프라 확충 현황
김동석기자 d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