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오션포럼]지속가능한 전력산업, 소비자참여가 해답이다

Photo Image

지난 6월 21일 오후 2시. 행정안전부·지식경제부·소방방재청 주관으로 국내에서 처음 정전 대비 위기 대응 훈련이 있었다. 20분간 시행된 이 훈련에서 우리 국민은 화력발전소 10기에 해당하는 500만㎾라는 엄청난 전력을 절감했다. 5000만 소비자 참여가 이룬 쾌거다.

2014년까지는 공급력 부족으로 전력수급 여건이 좋지 않을 전망이다. 전력수요는 2030년까지 꾸준히 증가할 예정인데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설비 확충만으로 대응하는 것이 과연 최선의 대책일까.

전력소비 증가는 기후변화 대응도 어렵게 만든다. 지속적인 설비 투자는 전기료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발전설비를 확충할 때는 송배전설비 증설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만든다. 반대로 수요를 감축하면 설비 투자비도 절감돼 전기료 인상을 완화하거나 인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2010년 우리나라 가구당 정전시간은 15분으로 일본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이다. 미국 138분, 프랑스 78분보다 한참 높은 수준이다.

좋은 품질의 전기를 사용하는 것은 좋지만 국민 모두가 반도체 제조사 수준의 고품질 전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이지만 저렴한 전기를 사용하고 싶은 소비자가 있는 반면에 반도체 제조사처럼 고품질 전기를 요구하는 소비자도 있다.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해졌다.

고품질 전력이 필요한 소비자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자가발전기, 무정전전원장치(UPS) 등과 같은 보조설비를 갖춰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추가 비용 일부는 정부나 판매회사가 지원할 수 있다. 전력설비 제조사 활성화와 관련 기술 개발, 전문 대행업체 출현도 기대할 수 있다.

전력저장장치 보급은 전력이 부족하거나 전력피크가 발생할 때 발전기 역할을 수행해 전력공급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전력을 공급하면 거래정산금도 받을 수 있고 설비 이용률도 높일 수 있어 일거양득인 셈이다. 이러한 소비자가 공급과 소비를 동시에 행하는 프로슈머(Prosumer)다. 프로슈머가 많으면 많을수록 공급과 소비에서 효율성은 높아진다.

정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그리드는 전기차·태양광·풍력·배터리 등 다양한 분산전원 및 프로슈머 활성화를 위한 기반 인프라다. 공급과 소비 효율성을 높이려면 소비자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제도나 인프라도 소비자 참여가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소비자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사업자나 판매사업자 등과 같은 새로운 사업자 출현이 필요하다.

약 2000만가구에 이르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1개 판매사업자나 서비스사업자가 충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경쟁이 치열한 통신시장은 통신사별로 100개가 넘는 요금제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기도 통신과 같이 다양한 사업자에 의해 여러 요금제도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소비자가 판매회사를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판매회사는 전기+통신 또는 전기+가스 등의 결합상품과 에너지 컨설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소비자 참여와 스마트그리드 융합은 공급과 소비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ESS 등 관련 분야 제조업 활성화와 해외시장 진출 등 새로운 성장동력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소비자 참여가 전력산업의 성장과 미래를 좌우한다고 봐야 할 것이다.

정도영 전력거래소 미래전략실장 dychung@kpx.or.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