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유럽발 경제위기, 온 국민 합심해서 극복하자

그리스·스페인 등의 유럽발 경제위기와 흔들리는 G2(미국·중국) 경제 여파가 대한민국을 강타할 쓰나미가 돼 몰려올 기세다. 당장 6월이 불확실하다.

5일 국무회의를 주재한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 경제가 저성장 징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수출과 일자리 문제로 직결된다”며 경제팀에 비상 수준의 대처를 주문했다. 기획재정부는 `실물 및 자금시장 점검회의`를 열어 대응에 나섰고 지식경제부도 오전에 황급하게 관련 업계·단체 중심의 점검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 경제에 글로벌 경제위기는 치명적이다. 굳이 “대공황 이후 가장 큰 경제적 충격”이라고 말한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진단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어려운 상황이다.

5월 무역수지는 2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지만 기뻐할 일은 아니다. 수출과 수입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3개월 연속 줄었다. 불황형 흑자다. 산업계엔 이미 비상이 걸렸다. 하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다. 실물경제를 관장하는 지식경제부도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당장 내놓은 것은 자동차·기계 업종은 자유무역협정(FTA) 덕을 봐서 아직 양호하고 조선·석유화학·철강 업종은 경기부진 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하는 수준이다. 지금으로선 업종별 대책반 같은 비상체계와 관계 당국과 협조체제를 갖추는 게 최선이라고 한다.

이런 와중에 중앙 정부와 함께 경제위기를 극복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국회는 `정치적 당략`에 눈멀어 첫날부터 기능이 마비됐다.

유럽발 경제위기는 우리가 초래한 것은 아니지만 이대로 두면 대한민국을 삼키고도 남는다. 행정부와 국회·산업계를 포함해 온 국민이 관심을 갖고 참여해야 할 이유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