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C가 20년 만에 미국 시장에서 위상이 극적으로 바뀐 현대자동차를 예로 들며 디지털 기술이 제조업 경쟁우위를 가늠하는 `제3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했다고 주장했다.

4일(현지시각) 짐 해플만 PTC 최고경영자(CEO)는 `플래닛PTC 2012` 기조연설에서 “비용 절감과 효율성에 집중해 온 제조 산업이 `디지털 기술`을 통한 제3의 혁명기를 맞았다”면서 “현대기아차와 월풀은 디지털 기술로 성장과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룬 사례”라고 지목했다.
과거 제조업이 비용효율화를 목표로 경쟁을 했다면 지금은 엔지니어링-공급망관리(SCM)-판매·서비스를 연계한 똑똑한 전략 수립으로 기술 및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발맞춰 PTC는 설계부터 공급망, 품질 및 규제준수를 충족하면서 사후서비스(AS)까지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해플만 CEO는 강조했다.
해플만 CEO는 기조연설에서 PTC의 `윈칠` 제품수명주기관리(PLM) 및 애플리케이션수명주기관리(ALM) 제품으로 R&D 시스템 전반을 개선 중인 현대기아차를 최고 성공사례로 꼽았다. 해플만 CEO는 “현대기아차는 90년대 초 미국 진출 당시 엔진 성능 부족으로 보증 기간이 짧아 문제가 제기됐었다”며 “지금 세계 4위의 자동차 제조업체로 성장한 현대기아차는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혁신으로 자체 엔진 개발에 나서면서 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자동차로 부상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국 내 최고 수준인 10년간의 보증 기간을 제공할 정도로 품질 자신감을 갖게 됐다”면서 “이를 가능케 한 것이 고도화된 디지털 R&D 시스템과 프로세스”라고 설명했다.
이날 앤드루 워트킨 PTC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윈도8 운용체계(OS) 기반 삼성전자 최신 스마트패드로 모바일 앱을 시연해 보였다. 앤드루 CTO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로 언제어디서나 3D 비디오와 이미지·데이터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업무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신제품 크리오(Creo) 2.0과 윈칠 10.1 제품을 연계하고 프로세스 관점에서 통합했다.
PTC는 제품별 조직을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캐드(CAD) △애플리케이션수명주기관리(ALM) △공급망관리(SCM) △서비스수명주기관리(SLM) 등 5개 기업 프로세스별 조직으로 개편했다.
올랜도(미국)=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