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일본 원전사고는 세계 에너지 대책과 정책을 떠들썩하게 했다. 특히 유럽은 독일로 하여금 다시 한 번 체르노빌 원전사고를 되새기게 하고 결국 독일 정부 의지와 관계없이 에너지 관련 전문가그룹들이 앞장서 원전을 완전 포기하는 정치적 분위기로 확립시켜 버렸다.
우리 현실은 어떠한가. 일본에서 건너올지도 모를 낙진 걱정을 한동안 하더니 모두들 무감각한 주변 환경에 익숙해져 가는 듯하다. 신재생에너지보다 원전기술 수출에 앞장서서 강력한 원전 수출국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려는 분위기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정부는 유럽(덴마크)과 녹색동맹을 맺고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보급화에 함께 한다는 간접적인 의지표명을 했다. 그런데 우리 풍력산업의 현실은 어떠한가. 이제 겨우 몇몇 시스템개발사가 국내 시장에 몇대씩 진입하는 실정이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마치 산업혁명처럼 산업 근간을 형성하게 해놓은 곳은 유럽이다. 그중 덴마크와 독일이 그 전열에 서서 풍력산업을 지금에 이르게 한 원동력이 됐다. 녹색에너지 산업의 혁명이라고도 할 풍력산업은 유럽을 주축으로 (전 세계가 CO₂ 의무감축의 몸살을 앓는 상황에서) 새롭고 혁신적으로 그린에너지로 에너지 전환을 힘차게 밟아 간다.
기후변화로 인한 인위적 자연환경 피해의 참담한 현실은 세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개발에 더욱 촉각을 세우게 한다. 유럽 전력에너지 정책 변화는 매년 목표지수를 새로 계획한다. 전체 전력에너지 수급을 2050년까지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그중 50%를 풍력으로만 충당할 계획과 정책을 세운다. 유럽공동체 연구집단은 해상풍력단지 개발 특성상 풍력발전기 대형화에 따라 20㎿급 풍력발전기 시스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국내는 아직도 대단위 육상단지 개발이 어렵고, 단지 개발이 되어 인허가가 나온다 해도 외산 시스템을 구입해 발전사업을 하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더구나 작년 말에 발표된 해상풍력단지 개발도 오로지 계통의 제한적 조건만 따져 새만금 아래 서남해역에 일단 2.5GW단지 개발 계획만 잡혔다. 이러한 안이한 정책으론 아마도 중소기업은 아사지경에 이를 것이다. 블레이드 제작사가 시설투자를 해놓고 멍하니 수주를 기다리다 지쳐 도산 직전까지 간 업체도 있었다.
우리 풍력산업이 살길은 생산성과 매출의 연속성을 이룰 내수 시장 활성화다. 국내 기술력을 선진 기술력과 같은 수준으로 높이고, 부품 국산화 뿐 아니라 국산품에 의한 풍력발전단지 개발로 발전하게 해 지역경제 발전 역할을 할 때 내수 시장 활성화가 가능하다.
교토의정서에 따른 참여국들의 CO₂ 의무감축은 오로지 신재생에너지원에 의해서 해결 될 수밖에 없다. 청정에너지를 이용해 화석연료에 의한 에너지 이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비싼 화석연료에 의한 에너지 생산단가는 날로 발전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력에 의한 생산단가와 경쟁이 될 수 없다. 미래에는 신재생에너지원에 의한 전력생산단가를 그 어느 에너지원도 따라올 수 없게 된다.
우리나라 조선산업은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선진 기술력을 갖고 있다. 풍력발전기 부품제작 개발을 위한 인프라도 어느 정도 구축됐다고 한다. 하지만 중국과 같은 거대 경쟁 국가와 현존해야 하는 우리는 국내외 시장 및 기술경쟁력에 휘말리게 돼 있다.
우리가 이러한 주변 조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반 기술 확립 및 자체 연구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국내 풍력산업 기술로 대형 풍력발전기를 개발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오로지 정부 정책과 충분한 기술적 인프라, 그리고 국내의 전통적 기술이다.
손충렬 목포대학교 해상풍력중심 신재생에너지 인재양성센터 석좌교수 scy7338@naver.com
-
조정형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