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대 1조원 규모 지방자치단체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을 검토한다. 통합 데이터센터가 구축되면 지방자치단체 정보시스템들도 정부부처에 이어 통합 운영 기반이 마련된다.
17일 행정안전부는 지자체별로 구축, 운영되고 있는 16개 광역시도의 데이터센터와 230개 시·군·구 전산실을 통합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행정안전부는 지자체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 수요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르면 내년 3~4월에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타당성을 검토한다. 이후 타당성이 검증되면 2013년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논의되는 지자체 데이터센터 통합 방안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16대 광역권으로 구분해 지역마다 거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서울·부산·인천 등 광역시는 시내 자치구 전산실을, 경기도·강원도·충청도 등 광역도에는 해당 시·군·구 전산실을 통합해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형태다.
이 방식은 예산이 많이 필요하지만 지역에 따른 지자체 고유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예산은 토지매입비, 건축비, IT 인프라 구축비 등 데이터센터 1군데당 400억~600억원이 책정돼야 한다. 총예산은 1조원에 육박하게 된다.
또 하나는 경제광역권 기준으로 통합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경제광역권은 △서울·경기도를 포함하는 수도권 △대전·충청남북도를 포함하는 충청권 △대구·경북을 포함하는 대경권 △광주·전라 남북도를 포함하는 호남권 △부산·경상남도를 포함하는 동남권이 있다. 여기에 강원권과 제주권이 추가된다. 이 방식은 16대 광역권 방식보다는 예산이 적게 들어가지만 광역권에 해당되는 지자체의 의견을 통일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경제광역권별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은 1군데당 600억~800억원으로 추산돼 총 4000억원에 이른다.
행정안전부 한 관계자는 “현재 광주광역시·전라남도·제주도 등 일부 지자체는 비용 절감을 위해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을 반기고 있다”면서 “타당성 검토 결과를 가지고 지자체와 협의해 통합 방식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 통합데이터센터 구축 방안
<뉴스의 눈>
지방자치단체 통합데이터센터가 구축되면 정부통합전산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통합 사례가 나오게 된다. 따라서 정부부처에 이어 지방자치단체 정보시스템 운영에도 혁신이 이뤄지게 된다.
가장 큰 효과는 16개 광역시도와 230개 시·군·구에서 중복 운영되는 IT자원의 효율화를 모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초기 통합과정에서는 상당한 예산이 투입되지만 장기적으로는 IT자원 구매 및 운영에서 비용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또 서울·인천 등 대형 광역시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자체가 IT인력 부족으로 인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는 정보시스템 관리 체계를 효율화할 수 있다. 실제로 230개 시·군·구 중 수원시·창원시·성남시 등 대형 기초단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열악한 IT인력 체계를 갖고 있다.
지자체 통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선결과제도 있다. 16개 광역시도와 230개 시·군·구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특히 서울시와 인천시 등 최근 수백억원을 투입해 신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는 자치단체를 어떻게 참여시킬지의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자치단체장이 모두 투표로 당선된 민선 기관장이어서 정부부처처럼 의견조율이 쉽지 않다는 것도 통합 데이터센터 구축의 걸림돌이다. 앞서 서울시가 25개 자치구 전산실을 신축 중인 상암동 데이터센터에 통합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자치구 의견을 통일하지 못해 중단했다.
한 지방자치단체 IT관계자는 “행정안전부가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않고 무리하게 지자체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하게 되면 프로젝트 도중 잡음이 발생하고 최악에는 프로젝트가 연기되거나 중단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지자체 의견수렴이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