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터넷-이동통신 검열하는 독재국가 시스템 우회 무력화 `그림자 인터넷` 추진

Photo Image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독재 국가들의 인터넷 차단에 대응해 국가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할 수 있는 `그림자 인터넷ㆍ이동통신(shadow internet and mobile system)` 계획 등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중동의 민주화 시위 과정에서 독재 국가들이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검열하거나 차단해 반체제 인사들의 의사 교환과 시위 계획을 막거나, 국제사회와의 의사소통이 거의 단절되어 있는 북한 등 정보통제 국가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인터넷은 이미 이집트 민주화 시위 등의 과정에서 주요한 투쟁 수단으로 자리잡은 바 있다.

뉴욕타임스(NYT) 12일자 보도에 따르면 내부적으로 입수한 관련 서류와 비밀 전문 등을 통해 미국 정부가 외국에서 해당 국가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광범위한 지역에 무선망을 구축해 국제 인터넷과 접속할 수 있는 `IIS(Internet In a Suitcase)`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SS는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네트워크망으로 국가가 통제하는 망을 이용하지 않고 메시 네트워크로 컴퓨터나 휴대전화 사이의 정보 이동을 자유롭게 해 준다. 일종의 비밀 가상 사설망을 유연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IIS를 이용하면 이란, 리비아, 시리아 등 인터넷을 검열하거나 차단하는 국가에서도 반체제 인사들이 자국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이미 아프가니스탄에서 5천만 달러를 들여 독립적인 무선전화망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미국 정부가 개발한 기술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독재자들의 폭압을 전 세계에 알리고 시위를 계획하는 해커들의 기술도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Internet in a Suitcase. - 2000만 달러 연방정부 예산이 투입되어 개발되고 있는 프로젝트다. 일종의 첩보 소설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기술을 이용해 정부의 감시를 피해 휴대폰이나 컴퓨터끼리 연결이 가능하고, 중앙 집중식 허브 없이도 웹사이트 구현도 가능하다. 누구든 해당 인프라를 임의로 없애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도록 개발 중이다.

(2) Independent cellphone networks. - 이 휴대폰 망 구축 프로젝트는 독립된 휴대폰 망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란, 시리아, 리비아 등과 같은 외국 국가가 대상이다. 미 연방정부는 아프가니스탄에 5000만 달러를 투자해 탈리반이 무력화 할 수 없는 독자 네트워크를 구축한 바 있다. 미군 보호지역에 휴대폰 망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Bluetooth beaming. - 휴대전화 블루투스가 비밀스런 정보(문자, 영상 등) 교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 있는 상대방과 정보를 자동으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4) Buried cell phones. - 북한의 경우(뉴욕타임스는 기사에서 특별히 북한을 실명 지목) 중국 접경에서 일부 북한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땅 속에 파묻어 두고 비밀 통화를 하는 사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관련글

http://www.nytimes.com/2011/06/12/world/12internet.html

http://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internationalbusiness/US-to-cast-shadow-net-around-repressive-regimes-to-aid-dissidents/articleshow/8831119.cms

http://www.theatlanticwire.com/technology/2011/06/us-funds-secret-internet-dissidents-repressive-countries/38743/

전자신문미디어 테크트랜드팀 trend@etnews.co.kr

Photo Imag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