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뚝심…인도제철소 6년만에 승인

Photo Image

지난달 30일 자이람 라메시 인도 환경부 장관은 오리사주 정부가 제출한 서류를 보고 포스코 사업 승인 결심을 굳혔다. 이 서류는 포스코의 제철소 용지에 이제는 원주민이 살지 않는다는 확인서였다.

같은 달 13일에도 주정부는 이 지역에 원주민이 없다는 증빙 서류를 보냈지만 곧바로 현지 민원이 제기됐고 라메시 장관은 이를 확인하라고 재차 지시했다. 결국 포스코의 제철소 건립을 반대할 사람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야 환경부 장관은 허가를 내줬다. 라메시 장관은 지난 2일 "포스코의 희망대로 1253㏊의 삼림 용지를 제철소로 변경할 수 있도록 최종 승인을 내렸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환경부 승인 공문을 받은 포스코 현지법인인 포스코인디아는 이 기쁜 소식을 곧바로 한국 포스코 본사와 미국 뉴욕 출장 중인 정준양 회장에게 알린다. 일관제철소 건립과 관련해 2005년 오리사주 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지 6년 만에 최종 승인을 거쳐 올 하반기 착공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 사업은 인도 오리사주 파라딥 지역에 2013년까지 연산 400만t 규모 고로(용광로)를 짓고 2015년까지 모두 1200만t의 쇳물을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전체 사업비는 120억달러로 포스코의 해외사업으로는 최대 규모다.

철강업계 한 임원은 "하나하나 확인한 후 절차를 진행하는 인도 특유의 `코끼리 행정` 탓에 20년이 걸릴 것이란 얘기도 나왔다"며 "포스코는 인도 사업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지만 그 반대급부로 해외 제철소 건립에 대한 엄청난 노하우를 갖게 됐다"고 평가했다.

포스코는 2000년대 들어 중국 인도 등 신흥국 경제 발전으로 철광석 등 자원 확보가 시급해지자 철광석이 풍부한 인도 오리사주를 눈여겨보기 시작한다. 특히 오리사주는 6억t 규모 철광석 산지가 있어 `자원이 있는 곳에 제철소를 짓는다`는 포스코의 국외사업 원칙에 딱 맞는 곳이었다.

2005년 오리사주 정부와 연산 1200만t 규모 제철소 건설과 관련해 MOU를 체결하고 대규모 철광석을 확보했을 때만 해도 이 사업은 장밋빛으로 보였다.



그러나 포스코가 신청한 광산탐사권 승인이 지역 업체와 소송 등의 문제로 지연되고 용지 확보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 마찰이 계속되는 등 각종 문제가 터졌다. 당시 "아르셀로미탈, 신닛테쓰가 이 지역에서 비슷한 사업을 검토했다가 접은 이유를 이제야 알겠는가"라며 포스코를 비웃는 시각도 있었다.

지난해에는 현지 비정부기구(NGO)가 포스코 프로젝트의 산림법 위반 문제를 제기하자 인도의 연방 환경부가 프로젝트 중단을 지시하고 위원회를 구성해 재심의에 들어갔다.

여기에 NGO 등 환경단체의 지속적인 반대와 원주민 민원으로 인도 제철소 건립사업은 진퇴양난에 빠졌다. 포스코 내부에서도 인도 사업에 대해 회의론이 절정에 달했다.

동트기 전이 가장 어둡다고 했던가. 포스코의 산림법 위반 문제를 검토하던 환경부 산하 위원회가 지난 1월 초 제철소 건설 예정지 거주 농민과 어부들에 대한 포스코의 보상금 지급이 정당하며 공장으로 인해 현지 주민 식수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취지의 보고서를 환경부에 제출하면서 상황이 급변한다.

결국 환경부는 지난 1월 31일 포스코에 대해 △매년 순이익의 2%를 사회공헌에 사용(이주민 복지ㆍ이주정책에 사용) △해안 침식이 우려되는 지역은 피해서 항만을 건설할 것 △용지 내 25%를 녹지 조성에 할애할 것 등을 의무 조항으로 달아 `조건부 승인`을 해줬다. 최근에는 마지막 남은 원주민 불만도 처리하며 최종 승인에 이른 것이다.

이번 최종 승인으로 포스코는 아르셀로미탈, 신닛테쓰 등 글로벌 철강업체들을 제치고 인도에서 단독으로 일관제철소를 짓게 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하나부터 열까지 문제가 안 되는 게 없었지만 기어코 해냈다"며 "오리사주 제철소 용지 중 국유지 비중이 93%에 달해 이르면 올해 안에 착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문일호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