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해외 경쟁자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지난해 출범한 20·30대 청년기업가 모임인 ‘YES(Young Entrepreneur Society) 포럼’ 초대 의장인 김동신 파프리카랩 대표의 말이다. 그는 요즘 신세대 스타트업 창업가들은 해외 경험이 많고, 대학 재학시절부터 외국인들과 경쟁을 펼쳐왔기 때문에 창업부터 해외시장을 겨냥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와 같은 당찬 글로벌 청년 스타트업 기업인들을 위해 정부가 본격 지원에 나선다. 창업 인프라가 혁신적으로 바뀌면서 아이디어만 뛰어나면 막대한 자본이 없더라도 크게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와 같은 청년 스타트업 기업인이 탄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김동선 중기청장은 “창업단계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창업지원정책을 통해 창조적인 글로벌 기업의 창출 여건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청년 스타트업 창업자여 해외로 나가라=정부는 지난해 성공적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및 비즈니스 서밋 개최를 계기로 G20 세대들이 해외에서 역량을 맘껏 펼칠 수 있도록 지원을 펼친다. 해외봉사 또는 인턴 경험자를 중심으로 해외 현지창업을 제안하게 된다. 지난 3월 글로벌 창업 수요조사 결과, 해외 봉사·인턴 경험자의 72.5%가 현지 체류 중 창업아이템을 발견했다고 응답했고 이들 중 창업을 준비 중인 청년도 16.3%에 달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외국과의 교류·협력이 활발한 대학을 지정해 해외창업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도 운영한다. 자연스러운 교류 속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아이템을 국내에서 발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해외 경험이 많지 않은 예비창업자를 위한 기회의 장도 마련된다.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공동 운영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를 글로벌 창업 전초기지로 특성화해 예비창업자들이 현지 언어·문화·법률 등의 집중 훈련과정을 받도록 한다.
2000년 전후 벤처 붐을 주도했던 정부 출연연구소 연구원들의 창업도 지원한다. 휴·겸직 창업 대상을 출연연으로 확대해, 복귀 시 휴직 당시의 직급 등을 보장하며 이들이 사람을 채용 시에는 인건비 총액한도 내에서 청년층 연구원을 충원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아울러 연구기관과 인력이 밀집된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연구원 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 전 주기 종합 지원체계를 정립하기로 했다. 대덕특구에는 공공연구기관 석·박사급 연구 인력의 약 65%인 1만5000여명이 밀집돼 있다. 과거 선배들의 뼈아픈 실패 경험으로 인해 과감한 도전에 나서지 않는 우수 연구 인력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 과감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들이다.
벤처캐피털 업계에서는 과거 벤처 붐 당시에는 대학·대기업·연구소에서 골고루 창업자가 나왔으나 버블 제거 후에는 그렇지 않아 투자처가 많지 않고 무엇보다 벤처기업 간 시너지 발휘가 어렵다는 지적을 해왔다.
◇해외 네트워크의 스타트업 전폭 지원=“우리 기술이 해외에서 충분히 통할 것 같은데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연합니다.” 국내에서 자리를 잡은 한 벤처기업 CEO의 말이다. 어느 정도 성공한 벤처기업조차도 해외에 섣불리 진출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미 적지 않은 성공 벤처기업들이 무리하게 해외에 진출했다가 막대한 손해만 보고 철수하는 사례가 있었다. 경험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충분한 네트워크가 없어서다. 정부는 사업 초기부터 해외서 승부를 걸고자 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들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우선 해외 조기정착 지원 프로그램이다. 재외공관과 KOTRA, 인케(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 해외한인무역협회(OKTA) 등을 활용한다. 여기에 중기청이 코디네이터로 중기청·KOTRA·수출입은행·기업은행·한국거래소 등이 ‘글로벌 지원기관 협의체’로 참석, 원스톱 해외진출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KOTRA는 수출계약서 작성에서부터 법률·통관 지원을 맡고, 재외공관은 외국정부 대상 민원 대행 및 제도개선 건의를 책임진다. 인케와 OKTA 등은 현지 문화·언어, 상거래 관습 등 청년 스타트업기업을 밀착 멘토링한다. 해외에 있는 수출 비즈니스인큐베이터(BI)는 현지 사무공간 제공 및 비즈니스 정보 제공 역할을 맡는다.
이 밖에 스타트업기업들의 해외시장에 대한 두려움을 덜기 위해 ‘협력형 글로벌 시장 개척 모델’을 개발한다. 주요 업종과 품목별 컨소시엄을 구성, 이들이 함께 전략적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설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이미 진출한 선배 기업과 창업기업 간 네트워크를 구축, 선배가 후배 기업을 이끌고 갈 수 있도록 분위기도 조성한다. 이 사업을 위해 정부는 올해 36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스타트업을 위한 패스트트랙 가동=글로벌 스타트업기업이 안정적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서기 위해서는, 국내 시장에서의 안착이 필수다. 이를 위한 지원책도 다양하게 준비돼 있다. 창업기업 육성자금 규모를 확충한다. 올해는 3000억원가량이 늘어나며, 내년에는 정부 중소기업 정책자금에 ‘청년전용 창업자금’이 신설된다. 전체 정책자금 예산 규모와 상관없이 청년 창업가를 챙기겠다는 의지다. 또 엔젤(개인투자자)의 스타트업기업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도 펼친다. 엔젤투자 시 출자 지분 의무보유기간을 2년 단축하고 소득공제 비율 역시 투자금액의 10%에서 30%로 확대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엔젤투자자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그만큼 스타트업기업에는 엔젤투자자가 나서야 하기 때문이다. 국내에 안착한 벤처캐피털도 스타트업기업을 챙기도록 했다. 이들의 투자기능을 창업보육센터(BI) 운영에 연계하고 입주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특히 대학이 벤처캐피털과 공동으로 청년 창업기업 전용 펀드를 조성 시 모태펀드에서 최고 70%를 매칭해 출자할 수 있도록 했다. 예컨대 대학에서 1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결성시 정부가 최대 70억원을 지원하게 되는 셈이다.
이 밖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스타트업기업의 글로벌 지재권 획득 및 보호 강화에도 나선다. 체계적 특허분석에 기반을 두고 고급 원천기술 획득을 지원한다. 정부가 나서 이들 글로벌 스타트업기업을 위한 지재권 획득전략 수립과 해외특허 출원 지원을 펼친다. 또 맞춤형으로 지재권 관련 분쟁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축해 수출 단계별 분쟁대응 종합 컨설팅 서비스를 전개한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에는 해외진출 국가별 업종·유형 등에 따라 지재권 분쟁정보 및 대응방안 등이 담기게 된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글로벌 창업 촉진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