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포럼] 디지털콘텐츠에도 ID 부여가 필요하다

Photo Image

 임규건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gglim@hanyang.ac.kr

 

 전 세계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2010년 4878억달러, 국내는 2010년 14조7000억원으로 매년 13~15%씩 성장하고 있다. 콘텐츠가 디지털화되면서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폭이 넓다. 최근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제2의 IT 혁신이 우리 산업 전체에 커다란 변화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유비쿼터스 환경이 점차 피부에 가까워 오고 N스크린 확대에 따른 융·복합 콘텐츠 정보기술 환경의 급속한 발전도 고무적이다. 우리나라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의 국가정보화 실행계획에 따르면 첨단 디지털 융합인프라를 구축해 창의적인 소프트파워 강국을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와 파급효과를 생각할 때 현 시점에서 디지털 콘텐츠 융합서비스 창출을 위한 체계를 정비하는 것은 중요하다. 근대 국가에서 늘어나는 인구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각 개인에게 주민번호와 같은 ID를 부여하듯이 디지털 콘텐츠 유통에서 발생되는 저작권 문제, 콘텐츠 관리·유통 문제, 콘텐츠 간의 연계 서비스를 통한 융·복합 서비스의 창출 등을 위해서 디지털 콘텐츠에도 주민번호와 같은 ID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국제적으로는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라는 체계가 표준이 되어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디지털콘텐츠 유통의 메가트렌드가 URL 구조에서 URN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에 발맞춰 2005년부터 사업을 추진, UCI(Universal Content Identifier)가 준비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2008년 이전 UCI와 COI가 구 정통부와 문광부에서 따로 추진되다가 2008년 UCI로 통합되었고,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총괄하다가 2010년부터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총괄하고 있다. SBSi, KBS인터넷, 밀레21,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26개의 공공·민간기관들이 RA(콘텐츠등록기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UCI 등록 총 콘텐츠 건수는 4274만건이다. 우리가 개발한 UCI를 활성화해 디지털콘텐츠 활성화 분야에서도 창조적인 선도를 이룰 기회를 모색할 때가 아닌가 한다.

 최근 실태조사에 따르면 UCI는 콘텐츠분류관리, 검색오류감소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조사대상 공공기관의 60.2%, 민간기관은 38.3%가 UCI의 도입의향이 있고 현재 RA기관들의 63.16%가 콘텐츠 관리 및 유통활성화를 위해 UCI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그러나 걸림돌이 있다. UCI 등록 콘텐츠의 양적증가와는 달리 현재까지 콘텐츠 간의 연계서비스 창출은 저조하며 중요한 저작권정보 관리기능이 미흡하다. 또 사업 주체의 혼선과 이관이 번복되다 보니 지원체계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융합, 유통 인프라로서 UCI의 보급률은 아직 자체 선순환 구조를 갖기에 부족하다. 기술수용주기상으로 보면 현재 공공분야는 ‘조기수용자’ 단계의 후기에, 민간분야는 초기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기술이 보급되고 표준화가 되기 위해서는 3분의 1의 대중이 활용하는 ‘초기 대중화’ 수준까지는 되어야 하는데, 이 수준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 관련된 법제도를 정비하고, UCI를 적극 지원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과 지원센터를 강화해야 한다. 활성화 지원 정책을 그동안의 양적 확대 정책에서 질적 향상을 위한 선택적 지원과 전략적 지원 및 개인들의 콘텐츠 유통체계의 UCI기반 정립 및 확산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