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4G 코리아의 반란]3회/이통 3사의 화두

Photo Image

 국내 이동통신 3사의 화두는 미래 네트워크다.

 최근 이동통신 통화품질 문제나 와이파이 난개발 문제들도 같은 맥락에서 제기되는 부분이다.

 미래 네트워크 전략을 어떻게 세우는지에 따라 이들 업체의 운명이 갈리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폰 쇼크에서 알 수 있듯이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늘어나는 트래픽을 기존 통신망으로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빚어지고 있는 만큼 당장 이를 해결하기 위한 투자는 불가피하다. 결국 롱텀에벌루션(LTE) 투자를 급하게 진행하지만, 이번 투자가 향후 4G망과 최대한 유연하게 이어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또 단순히 통신망을 운용함으로써 수익을 만들어내던 시대는 이미 과거다. 망 위에서 어떻게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지가 사업자에게 떨어진 당면과제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 3사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황금 열쇠를 찾고 있다. 하지만 황금 열쇠가 존재할 수 없고,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무엇이 황금 열쇠인지 가늠하기 힘들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동통신 3사가 선택한 전략은 3.9세대(3.9G)로 불리는 LTE 투자를 기반으로 향후 4G 시대로 무리 없이 넘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동통신 3사가 최소 1조5000억원이 투입되는 최대 규모 베팅의 시작이다.

 그러나 이전과 같이 통신 투자 사이클이 길지 않은 상황에서 수조원에 달하는 미래 투자는 통신사업자들에게 부담이다. 특히 미래 통신 상황에 대한 예측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의 투자 전략은 더 어렵다.

 당연히 최고 의사결정권자들의 이를 두고 고민한다.

 현재 LTE 관련 신기술 동향이나 해당 단말기 출시 등이 불명확해 이들 경영진의 판단을 어렵게 한다. LTE 단말 출시가 불명확하면 장비를 구축해도 상용 서비스까지는 상당 시간이 지체된다.

 보다 진보된 관련 신기술과 단말기 출시 동향을 검토 한 뒤 투자를 진행하겠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LTE 망의 조기구축보다는 구축 후 망의 안정화 조기 확보를 위해 LTE 신기술 및 단말기 동향을 면밀히 검토해 LTE 도입 상세 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게 이들 ‘신중론자’의 입장이다.

 LTE 초기에는 커버리지의 한계라는 특성상 ‘3G+4G 듀얼 단말’이 반드시 필요한데, 일부 업체에 따라서는 이에 대한 단말기 호환성을 맞추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업계는 충분한 주파수 할당에 정책적 배려를 관계 당국에 요구하고 있다. 사용 주파수 대역에 비례해 속도가 증가하는 데이터 전용망인 LTE와 LTE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LTE 어드밴스트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할 때 주파수 확보는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된다.

 업계 관계자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해 높은 편인 매출액 3%에 해당하는 ‘주파수 할당대가’의 부과는 사업자들의 투자 여력을 위축시킨다”며 “국제적으로도 대가할당 주파수에 전파사용료가 부과되는 경우는 거의 없음에도 불구, 우리나라는 통신 3사가 2800억원 수준의 전파사용료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또 WCDMA 등 기존 3G망에 대한 사업자들의 관심을 차세대망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정책도 요구된다.

 기본적으로 사업자들은 신규망 투자보다는 기존 레거시 망에서 수익 극대화를 지향한다. 과거 2G에서 3G로 넘어가는 과정 역시 마찬가지였다. 수익을 추구하려는 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성향은 사실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자연스럽게 개선할 수 있는 주파수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예컨대 향후 할당하는 주파수(저대역, 2.1㎓ 등 우량주파수)에 대해서는 그 용도를 LTE로 한정하는 방법 등이 주효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요구다.

Photo Image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