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라인]아~이피TV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한 TV, 이른바 IPTV에 한창 적응해간다. 본격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손에 쥐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0월쯤이다. 처음에는 버튼이 많아 황망했는데 4개월 정도 이리저리 눌러본 덕에 이제는 ‘느긋하게 보고픈 프로그램을 끌어오는’ 정도가 됐다. 이것 하나로도 놀라운 변화다. 1970년대 김일의 통쾌한 박치기를 보려고 TV 앞에 옹기종기 모여 앉았던 추억을 간직한 터라 그야말로 뽕나무 밭이 바다가 된 것 같다.

 지난 19일 밤에는 3500원을 내고 영화 ‘아저씨’를 끌어다 보았다. 이날 3500원을 냈으니 이후로 10일 동안 ‘아저씨’를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아는데, 다시 끌어낼 때마다 추가로 결제되는 듯해 늘 불안하다. 능수능란한 IPTV 시청자가 되기까지 갈 길이 멀다.

 사실 아날로그 종합유선방송(케이블TV)을 볼 때에만 해도 버튼 서너 개면 충분했다. 위나 아래 한쪽으로 채널을 바꿔가며 ‘볼 만할 것 같은’ 실시간 방송이나 재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했으니 전원·채널 전환·볼륨 버튼이면 그만이었다. 그랬던 게으름뱅이가 이제 ‘아저씨’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기에 편안한 시간에 불러내곤 한다. 스스로 제법 흐뭇한 시청자이자 능동적인 누리꾼이 된 느낌이어서 뿌듯하다.

 IPTV를 보는 눈살이 늘 편안한 것은 아니다. 때로는 아무 생각 없이 채널을 위나 아래로 죽 훑어보고 싶은데 화면 바뀌는 속도가 느리다. 채널 전환이 느리다고 해야 겨우 1초도 되지 않는 시간이지만, 리모트 컨트롤러를 누르는 엄지손가락은 늘 네댓 번 앞서 나가고는 한다.

 화면이 멈출 때도 있다. 모 방송사의 인기 다큐멘터리를 끌어내 볼 때였다. 소리는 들리는데 화면이 섰다. 1분 이상 기다렸음에도 화면은 움직이지 않았다. ‘나가기’ 버튼을 눌러야 했고, 다시 그 프로그램을 불러내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이어보기’ 표시가 떴고 화면이 멈췄던 곳에서 다시 이어지기 전에 ‘흔들면 더 부드럽다는 술 광고’부터 시청해야 했다. 볼 마음이 없었고, 볼 필요도 없던 광고에 노출됐던 것이다.

 우연히 서로 다른 방에 놓인 지상파TV 방송(MBC·EBS·SBS·KBS)과 IPTV의 채널이 겹칠 때에는 돌림노래를 들어야 한다. 지표면을 따라 퍼지는 지상파TV와 이를 인터넷으로 다시 전송하는 IPTV 사이에 시차가 나기 때문. 뉴스를 볼라치면 한 문장 정도를 두고 돌림노래 현상을 빚는다. 또 갑자기 볼륨이 커지는 현상이 잦아 기술적으로 손볼 게 적잖이 남은 상태다.

 지난달 IPTV 시청자(가입자)가 300만명을 넘어섰다. 올해 그 수가 500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시청자를 위한 세심한 기술적 배려(개선)가 더욱 중요한 시점이다.

 IPTV 상용 서비스 준비가 한창이던 2008년 10월 28일 KT 경영연구소는 IPTV 가입자 수가 2009년 상반기에 280만, 그해 말에 350만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는 지난해 12월에야 300만명을 돌파했으니 예측치보다 1년쯤 늦었다. 기술을 비롯한 여러 측면에서 IPTV를 제대로 손질할 때가 된 것 아닐까. 기술적으로 조금 모자란 ‘아~이피(IP)TV’ 말고 ‘즐겁고 풍요한 IPTV’를 기대한다. 또 2008년 11월 IPTV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예측했던 일자리 창출 효과 ‘2013년까지 3만6500개’도 꼭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