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로봇 산업이 우리나라 경제를 주도할 미래의 먹을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약 94억달러로 이 가운데 서비스로봇은 아직 전체 로봇 시장의 3분의 1에 불과하지만 2003년 이후 연평균 38%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7년 후인 2018년에는 서비스로봇은 855억달러를 형성, 전체 로봇 시장의 85%를 차지할 전망이다.
정부도 서비스로봇 시장의 잠재성을 높이 평가하고 세계 로봇 시장의 20% 점유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의료, 교육, 소방 등 수출 가능성이 큰 서비스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서비스로봇은 의료·교육·감시 등의 분야에서 최근 급성장세다. 지난해에는 삼성테크윈이 감시로봇 시스템을 교통정보시스템(ITS)과 연계해 알제리에 수출, 해외 시장을 열었다. 의료 분야에서도 큐렉소와 이턴이 의료용 수술로봇을 개발하면서 기존 외산 일색의 의료용 로봇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교육용 분야에서도 KIST가 영어교사 로봇을 만들어내는 등 다양한 모델 개발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다. 청소로봇도 삼성과 LG 등 대기업이 참여하면서 지난해에 큰 폭 성장을 일구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서비스로봇이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도 많다. 가장 급선무로 꼽히는 것이 영세성의 탈피다. 서비스로봇 기업 대부분이 매출 50억원 미만으로 영세한데다 전문 연구인력과 평균 종사자도 각각 8명과 20명으로 열악한 상황이다. 그만큼 작은 기업들이 난립해 연구실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 지원의 태두리를 벗어나는 것도 서비스로봇 기업이 극복해야 할 부분이다. 그간 원천기술개발사업, 시범서비스와 확산사업 등 정부의 R&D 지원 의존이 커 자생력이 부족하다는 평이 있다. 따라서 정부 지원도 단순히 R&D 개발과제를 통한 기업 지원에서 벗어나 로봇기업이 자생할 수 있도록 유통망 조성과 기업 간 협력을 이끌어 산업 환경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
-
이경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