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원을 들인 정부기관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성과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앱 제작 및 마케팅을 위한 거버넌스 수립과 다양한 운용체계(OS) 및 디바이스 시대에 맞는 모바일웹을 만들고 적극적인 공공정보 공개 등이 급선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8일 국회 문방위 소속 한나라당 안형환 의원이 정부 부처 및 광역자치단체를 상대로 올해 앱 개발 현황을 집계해 분석한 결과, 정부기관 관련서비스 총 56개 중 다운로드 횟수 10만건 이상은 11개에 그친 반면 개발비는 약 26억원이 들어갔다. 조사 대상은 15부 18개청, 방송통신위와 금융위, 국민권익위, 공정거래위 등 대통령 및 국무총리 직속 위원회, 서울시 등 16개 시도이며, 조사 기간은 지난 11월 10일까지다.
이들 앱 가운데 다운로드 횟수 10만건 이상은 11개에 그쳤다. 1만건 이상은 12개였으며, 1000건 미만도 7개에 달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앱은 통계청의 ‘수명계산기’로 다운로드 횟수가 33만1000건에 달한 반면, 서울시의 ‘서울종합방재센터’는 10건에 그쳤다.
정부기관의 총 앱 개발비용은 중앙행정기관이 15억6690만원, 광역단체가 10억6600만원에 달했다. 억대 개발비가 소요된 앱은 서울시의 ‘I-tour’(3억1400만원), 전라남도의 ‘U남도여행길잡이’(3억원), 특허청의 ‘특허정보검색’(2억6600만원), 행정안전부의 ‘민원24시’(2억원), 고용노동부의 ‘잡영’(2억1600만원) 등이다.
개발비가 많이 든 앱 중 일부는 아이폰용, 안드로이드용, 윈도 모바일용으로 모두 제작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일부 앱은 개발 난이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개발비를 지불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제기된다.
안형환 의원은 “정부가 직접 개발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공공정보 공개를 통해 민간에서 앱을 개발하도록 하는 게 낫다”며 “다만 장애인 등 소수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앱은 민간에서 만들 확률이 적기 때문에 정부기관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강정수 연세대 박사는 “기대에 못 미치지만 모바일 시대에 공무원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인 결과인 만큼, 책임 추궁보다는 전체적으로 효율적인 제작 및 마케팅,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찾으면서 앱에 대한 종합적인 전략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미나기자 mina@etnews.co.kr
IT 많이 본 뉴스
-
1
5년 전 업비트서 580억 암호화폐 탈취…경찰 “북한 해킹조직 소행”
-
2
'아이폰 중 가장 얇은' 아이폰17 에어, 구매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사항은?
-
3
5대 거래소, 코인 불장 속 상장 러시
-
4
코웨이, 10년만에 음식물처리기 시장 재진입 '시동'
-
5
'주사율 한계 돌파' 삼성D, 세계 첫 500Hz 패널 개발
-
6
현대차, 차세대 아이오닉5에 구글맵 첫 탑재
-
7
나무가, 비전 센싱 기반 신사업 강화…“2027년 매출 6000억 이상”
-
8
속보이재명, '위증교사 1심' 무죄
-
9
美 한인갱단, '소녀상 모욕' 소말리 응징 예고...“미국 올 생각 접어”
-
10
재생에너지 키운다더니…지자체간 태양광 점용료 4배 차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