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11/101108064310_793652394_b.jpg)
금세기 대두되는 문제인 에너지자원고갈에 따른 대체에너지와 대기환경변화에 기인한 기후변화를 해결하고,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매진하기 위해 정부는 녹색성장에 관한 비전선포했다. 선포 이후 정부는 그린화에 대한 정책과 이에 대한 이행을 위한 법률제정을 통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위협을 느끼기 시작한 세계는 교토의정서 이후 2012년부터 시작하는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다.
각국의 사회와 경제주체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예방대비 대응하는 위기관리시스템을 실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녹색성장을 위한 국가발전전략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정부·기업·가계 경제의 3주체의 행동이 중요하며 특히 기업이 참여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녹색성장에 직접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기업이 녹색성장의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은 녹색성장을 위한 기본적인 단위로 먼저 사업연속성을 확보하는데 있고, 중단되면 즉시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는 책임이 있다. 과거에 기후변화현상에 따른 기업의 경영활동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로 인한 재산의 피해를 복구하는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후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이 고취된 80~90년대에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환경과 경제를 조화하고자 하는 경영활동을 추구했다. 요즈음 기업은 국내외 환경규제에 따른 경영전략의 변화와 소비자들이 환경에 따른 의식변화와 기인하는 경영마인드로 환경을 통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선진국의 글로벌 기업들은 기존의 비즈니스를 녹색경영을 추진하는 비즈니스모델로 개편하면서 기후변화에 의하여 야기되는 규제위험, 소송위험, 제품, 기술위험, 물리적 위험, 평판위험요인 등에 대한 예방, 대비와 대응을 하는 경영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녹색경영이란 조직에 물적, 인적, 자금 및 정보자원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고 인도하는 가치창출과정에서 자원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또 저탄소배출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사회적 책임을 실행하는 것을 계획하는 프로세스를 추구한다.
이러한 녹색경영활동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친환경 비즈니스를 위한 기후친화 형 녹색사업 확장이며 둘째로 친환경을 고려한 녹색제품/서비스의 Life-Cycle 관리, 마지막으로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한 기후친화적인 경영관리과정의 확립이다.
녹색성장을 위하여 녹색경영기법은 기업에서 경영혁신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녹색경영혁신의 목적은 기업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환경성과를 개선하고, 경제적인 수익과 환경적 지속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기후친화적인 경영목표를 세우고, 이를 통하여 기업의 사업연속성을 확보하여 경쟁력우위를 가지는데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환경변형에 대비, 대응을 통하여 녹색성장의 목표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 녹색경영이라는 수단을 활용하여 녹색비즈니스활동의 윤곽을 잡는 경영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계획이 제대로 실행되었는가에 대한 감시와 대처하는 기능을 가진 경영통제도 필요하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요소들로 인하여 기업의 비즈니스가 변화하는 상황, 즉 추가적으로 국제적인 신규규제가 발생하여 비즈니스상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녹색성장을 위한 업무프로세스에 중단이 초래되고 기업가치는 하락할 것이다. 이는 기업의 존속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대비하는 경영관리프로세스가 녹색경영시스템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녹색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 Framework의 기본모델을 형상화하기 위해서 비즈니스상시운영계획인 BCP구성 체계를 도입한다면 녹색성장의 전 과정에서 위기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친화적인 경영관리프로세스를 정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재난포커스(http://www.dI-focus.com) - 서울디지털대학교 경상학부 신언명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