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38164_20100929162430_419_0001.jpg)
SK텔레콤이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의 데이터통신 사용량 증대에 발맞춰 무선데이터통신 역량을 대폭 늘린다.
SK텔레콤은 전국 평균 대비 2.1배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서울 5개구의 데이터 처리 용량을 기존 대비 3배로 늘리는 한편, 무선인터넷 설비인 T와이파이존을 연내 5000개소 늘려 총 1만5000개 이상 확보하는 등 무선 데이터 처리 역량을 대폭 늘려나갈 방침이라고 29일 밝혔다.
SKT는 서울 내 중구, 종로구, 영등포구, 강남구, 서초구 등 5개 구의 이동통신 주파수 송.수신 설비를 확충, 기존 4개의 주파수 할당(FA)에서 6개로 늘렸으며, 이에 따라 무선데이터 처리 용량은 3배로 증가했다.
내달 말까지는 서울 전역, 연말까지 인천, 수원, 성남 등 수도권 지역으로 확대 적용한다.
또한 기지국 용량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는 `6 섹터 솔루션`을 11월부터 적용, 서울과 수도권 광역시 등 인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1000 국소에 우선 배치하며, 초소형 기지국으로 불리는 `데이터 펨토셀`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11월부터 본격 구축에 돌입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SKT는 고정형 와이파이 범위와 이동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하철 객차와 버스, 택시 등에 5000 국소의 모바일 와이파이를 연내 설치할 계획이다.
SKT는 “데이터 무제한 사용을 표방하는 새 요금제 도입 이후 한 달만에 이용 고객이 125만명을 돌파했으며, 지난 7월 대비 9월 누적 WCDMA 데이터 트래픽이 2.8배 이상 늘었지만 통신에 별다른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kr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38164_20100929162430_419_0002.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38164_20100929162430_419_00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