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무선통합서비스 제공, 스마트폰 보급 확산 등에 따른 무선인터넷 서비스 활성화로 인해 인터넷주소(IPv4)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당초 예상했던 2012년보다 1년 정도 빠른 내년 6월에 전 세계적으로 주소 자원이 고갈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기구와 미국 · 일본 등 주요국, 구글 · 페이스북 등 글로벌사업자들은 차세대인터넷주소인 IPv6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다양한 미래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있어 차세대 체계는 도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행 인터넷주소체계인 IPv4에서는 2의 32승인 43억개 주소가 생성되지만, 차세대 인터넷주소체계인 IPv6에서는 2의 128승(43억개를 4번 곱한 수치)의 주소를 확보할 수 있어 사실상 무한대로 인터넷주소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차세대인터넷주소인 IPv6에 대한 관심 또한 타 선진국에 비해 빠르고 깊었다. 그럼에도 결국, 2010년 현재 우리나라는 IPv6 주소체계 선점에서 선진국에 뒤지고 말았다. OECD 국가 중 준비율이 8위에 그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정보통신부 시절인 2004년 IPv6 보급촉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를 대비하려 했다. 그러나 당시는 업계가 관심을 갖기에는 너무 이른 감이 있었다.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으로 뒤처져 버린 것도 사실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이번 방통위가 마련한 종합 추진계획은 IT코리아를 일궈낸 경험이 그대로 녹아 있다. 체계적으로 추진하면 글로벌 선도기반 확보는 어려운 과제가 아니다. 이제 기업과 스마티즌의 힘을 보여줄 때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시론]AI 패권의 새로운 질서
-
2
[ET단상] 양자와 AI 시대, K보안 도약을 위한 제언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ET톡] AI와 2차 베이비부머의 미래
-
5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14〉AI '앱 경제'를 '에이전트 경제로' 바꾸다
-
6
[황보현우의 AI시대]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
7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8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9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