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한 자본을 앞세운 중국이 한국 온라인게임의 `돈줄`로 부상했다. 특히 우리나라 게임 산업의 생태계를 지탱하는 알짜배기 중소개발사 사이에 중국 자본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한국 게임 산업이 중국의 하도급 업체로 전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중국 샨다가 9500만달러에 달하는 뭉칫돈을 쓰면서 아이덴티티게임즈를 인수, 게임 업계가 술렁였다. 우리나라의 유력 게임 업체들을 모두 제치고 아이덴티티게임즈 인수전에서 샨다가 승리했기 때문이다.
중국 게임 업계 1위인 텐센트의 행보도 심상치 않다. 텐센트는 직접 인수보다 투자를 매개로 한 끈끈한 협력이라는 방법을 택했다. 텐센트는 레드덕과 리로디드스튜디오, 탑픽, 넥스트플레이,스튜디오혼 등의 개발사에 적게는 20억원에서 많게는 1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텐센트가 작년 초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한국 게임개발사에 투자한 자금은 200억원 이상이다.
텐센트는 개발사의 목마른 자금 사정을 채워주는 대가로 중국 내 서비스 판권을 얻는다. 텐센트 투자를 받은 모 게임 업체 대표는 “텐센트는 단지 자금뿐 아니라 탄탄한 유통망과 탁월한 마케팅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국 사업을 지원해주는 파트너”라고 설명했다.
중국 업체들이 한국 개발사에 돈을 아끼지 않는 이유는 현시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투자 방안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게임 업체들은 과거 한국 게임을 모방해 이른바 `짝퉁`을 만들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뒤이어 직접 개발이라는 강수를 뒀지만 더 큰 비용만 날리는 경험을 했다.
반면에 일찍부터 완성도 높은 한국 게임의 가능성을 안 텐센트는 `던전앤파이터`와 `크로스파이어`라는 쌍두마차 덕분에 중국 게임 업계 1위로 도약하는 성과를 냈다. 두 게임은 현재 중국에서 월 3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내고 있다.
한국 개발사에 직거래를 제안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보통 게임 수출은 국내 개발사가 해외 판권을 대형 퍼블리셔에 주고, 이를 다시 해외 파트너에게 주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텐센트를 통해 중국에 `아바`를 서비스하고 있는 김세웅 레드덕 부사장은 “중국뿐 아니라 한국의 대형 게임 업체들도 위험 분산 차원에서 신생 개발사보다는 이미 검증된 게임을 갖고 있는 개발사를 선호한다”며 “흥행작을 갖고 있는 개발사에 국내 퍼블리셔를 배제하고 직접 거래하자는 제안도 자주 들어온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중국은 막대한 자본을 앞세워 한국 게임 시장을 재편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며 “물론 북미나 유럽 등 아직 가능성이 있는 시장이 많기 때문에 세계 온라인게임 산업에서 한국과 중국의 경쟁은 이제부터가 중요하다”고 내다봤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텐센트 매출액 및 영업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