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칼럼]2011 IT혁신 스위트스폿

이맘때면 대부분의 기업 최고정보책임자(CIO)는 내년 IT투자계획을 짜느라 경황이 없다. 올해는 그 고민이 더 커 보인다.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먼저 경기 회복의 불확실성이다. 흔히들 회복국면이라고 얘기하지만 `더블딥`의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올 상반기 글로벌 IT투자가 완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예년 수준으로 올라서려면 여전히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KPMG는 지금 추세로 가더라도 2012년 상반기에나 전세계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비용절감은 중요한 화두가 됐다. IT투자 역시 예외가 아니다. 빠듯한 IT예산으로 IT가 비즈니스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란 쉽지 않다. 행여 중장기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거나 곧 착수할 예정이라면,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리스크도 염두에 둬야 한다.

최근 2~3년 사이에 본격화된 기술 변화도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가상화, 소셜 미디어, 모바일 서비스 등은 IT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만큼 파괴력이 크다. 문제는 이들 기술이 언제,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는 점이 고민이다. 이처럼 복잡하면서 빠른 기술진화는 시장의 규칙을 바꾸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의 확산으로 향후 5년내 IT서비스 업계 판도가 확 바뀔 것이라는 예상이 대표적인 예다.

경제와 기술의 복합적 변화는 IT 공급업체와 수요기업 모두에게 새로운 규칙에 적응할 것을 요구한다. 새로운 규칙은 `판`을 바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어떤 이에게는 위기이기도 하다. 바로 `뉴 노멀`이 IT산업과 IT전략에도 현실적인 화두로 부상한 것이다. 세계적 IT리서치 회사인 가트너가 오는 10월 미국에서 열리는 `가트너 심포지엄 2010`의 핵심 주제로 `과도기: 새로운 현실, 규칙 그리고 기회(Transitions: New Realities, Rules and Opportunities)`를 선정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유명한 프록터앤갬블(P&G)의 밥 맥도널드 최고경영자(CEO)는 올초 부임하면서 `전세계에서 기술을 가장 잘 사용하는 기업`을 회사의 미션으로 제시했다고 한다. 이 회사의 IT전략은 당연히 이 미션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물론 여느 기업과 마찬가지로 비용절감이라는 큰 전제 속에서 말이다.

필리포 파세리니 P&G CIO는 비용절감과 비즈니스 가치 제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과 협업 인프라 제공에 힘을 쏟고 있다. 한 인터뷰에서 파세리니 CIO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8억달러를 절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11년을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비용절감과 비즈니스 가치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스위트 스폿`을 찾았다는 자신감에서다.

IT가 비즈니스 혁신에 기여해야 한다는 원칙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지만 비용절감의 압박 속에서 이런 기회를 잡기란 쉽지 않다. 그런 만큼 `스위트 스폿`을 제대로 잡는 IT조직은 오히려 진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어려운 일이지만 이게 바로 뉴 노멀의 시대적 요구이다.

CIO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