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29919_20100905162906_802_0001.jpg)
이명박 대통령이 진통 속에 출범한 3기 내각에 `공정 사회` 기준을 다시금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신임 장관 등 국무위원과 장 · 차관급 고위공직자 등 100여명을 청와대로 불러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국정을 운영하면서 일 하나하나가 공정한 사회라는 기준에 맞는지, 맞지 않는지 스스로 냉철하게 생각하면서 살펴야 한다”면서 “저도 국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업무 하나하나에 공정 사회 기준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국민 모두에게 공정한 사회를 만들자고 주장하기에 앞서 공직 사회, 권력을 가진 자, 잘 사는 사람 등이 공정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면서 “이번 총리 이하 국무위원 임명 과정에서 아픔을 무릅쓰고 인사추천을 취소했고, 외교장관 문제도 공정 사회 기준을 보면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이 두 가지 일은 (앞으로) 공직사회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꼼꼼히 살펴보면 우리 산업화는 원천기술이 없는 산업화여서 사실 선진국의 산업화라고 할 수 없고, 민주화가 됐다고 하지만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는 이루지 못하고 있다”면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국가로서 자만할 게 아니라 한 단계 더 높이는 중대한 과제가 우리 앞에 주어져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되지 않으면 우리는 경제를 한 단계 더 높이는 것도 제한이 따를 것이고, 사회는 갈등과 분열을 해소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런 것을 이루려면 공정한 사회가 돼야 한다”고 재차 역설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지시는 대 · 중기 상생, 시장의 공정경쟁, 1인 창조기업 육성, 일자리 창출, 친서민 정책 등 향후 주요 경제부처가 추진할 정책 등에도 큰 방향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워크숍에 참석한 장 · 차관들은 각 부처 업무에서 공정사회 기준을 적용해 추진하는 방안을 돌아가며 발표했다. 또 지난 1일 개원한 정기국회에 상정할 주요 법안과 예산안 등에 대한 세부 토론을 벌였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는 지난 4일 사의를 표한 유명환 외교부 장관 대신 신각수 차관이 참석했다.
정지연기자 jyjung@etnews.co.kr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29919_20100905162906_802_0002.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29919_20100905162906_802_0003.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9/029919_20100905162906_802_000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