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사이버위협에 `따로 국밥`식 대응 안한다

행정안전부가 분산서비스거부공격(DDoS) 등의 사이버 공격을 민 · 관 합동으로 사전 차단하기 위해 유기적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그동안 민 · 관이 개별적으로 파악해온 사이버 위협 정보를 처음으로 공유해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전산센터(센터장 장광수)는 내년초 본격 운영할 예정인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 구축 사업자로 이글루시큐리티 · 정보보호기술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사업 규모는 7억원 가량이다.

이글루시큐리티 · 정보보호정보기술은 표준 기술 규격을 토대로 종합분석처리 시스템 · 침해사고 대응시스템 · 정보공유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이들 시스템을 연말께 연계할 예정이다. 또한 시 · 도 사이버침해대응시스템 기능도 업그레이드 한다.

행안부는 이번 사업규모가 장비 구축 사업에 비해 크지 않지만 정부 최초로 민간사업자와의 정보 소통 채널을 만들어서 사이버 위협 정보를 함께 나누는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는 점에 의미를 뒀다.

장광수 정부통합전산센터장은 “그간 위협정보를 민간 따로, 정부 따로 운영해온 탓에 지난 해 7.7 DDoS와 같은 국가적인 사고 앞에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웠다”며 “사이버위협을 실시간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민 · 관이 정보를 공유하고 사이버위협에 사전에 대비하자는 취지로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말했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이와 함께 이달 중 안철수연구소 · 삼성SDS · 어울림정보기술 · 나우콤 등 16개 보안 업체와 사이버 위협 정보 교환을 위한 세부 방안을 만들기 위해 워크숍을 개최, 민관이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센터는 지난 7월초 이들 회사와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장광수 센터장은 “사이버위협정보공유시스템 운영과 함께 보안 전문 기업과의 정보 교류를 확대해 사이버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