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국내 네트워크 인프라 현황 한눈에 본다

2012년부터 국민들은 자신이 어떤 지역에서는 어떤 수준의 통신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012년 완성을 목표로 `통신망 정보지도 시스템 구축` 사업을 본격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미 통신사업자별 네트워크 속도 및 커버리지 등 기초조사는 마무리된 상태다.

특히 정보지도 시스템은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되는 `스마트워크` 정착의 기초 정보인프라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방통위 허성욱 네트워크기획보호과장은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지역별 보급률 및 이용률, 서비스 사업자, 구축 기술 및 시설 규모 등 광대역 정보 지도를 활용해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중복투자 방지 및 사업자의 투자 효율성 제고 등이 가능해 진다”며 정보지도 시스템 구축의 취지를 설명했다.

통신망 정보지도 시스템 구축 사업은 초고속인터넷 · 광대역통신망(BcN)서비스 · 와이브로망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각 망들의 △커버리지 검색 △가입현황 검색 △농어촌지역의 이용현황 검색 등이 주요 내용으로, 웹서비스 기반으로 서비스 가능 유무 등을 시 · 군 · 구 등의 단위 지도형태로 구축하게 된다.

통신망 정보지도가 구축되면 △서비스 음영지역 등 이용자 디지털 격차 현황 파악 △이용서비스 선택의 폭 확대 등에 따른 이용자 알권리 향상 △인프라 공동 활용 및 국가차원의 효율적 망 활용을 통한 국가 자원의 효율적 이용 등이 가능해진다. 현재 방송은 커버리지 구분 및 해당 서비스 가입자 정보가 마련돼 있으나, 통신망 정보지도는 구축돼 있지 않다.

방통위는 “통신망 정보지도 시스템은 한 번 큰 틀을 구축해 놓으면 추후에는 서비스 주체들로부터 자료를 제공받아 비용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며 “통신 소비자에 대한 정보 제공 측면 뿐 아니라, 통신사업자 · 지자체 · 수요기업 등의 인프라 공동 활용을 촉진하고 경쟁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