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조만간 1차 협력업체 확대를 골자로 하는 종합적인 상생경영 방안을 내놓는다.
삼성전자는 2일 중소기업과 상생 차원에서 1차 협력업체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결정은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상당한 파장을 불러 올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한 달 동안 협력업체 80여곳 의견을 청취한 결과 2·3차 업체가 1차 협력업체가 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해 달라는 요구가 가장 많았다”며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해 새로운 지원 방안을 내놓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1차 협력업체의 자격 요건 등 가이드라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확대 방안을 확정지을 방침이다. 이 방안이 확정돼 2·3차 협력업체들이 1차 협력업체가 되면 적지 않은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직거래가 가능해지면서 안정적으로 현금결제를 담보받는 데다 그동안 1·2차 협력업체에 내야 했던 수수료 부담도 줄어들어 마진을 크게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3차 협력업체를 두 부류로 나눠 심사를 할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2차 협력업체가 생산한 부품 조립이 삼성 계열사 생산 현장에서 이뤄질 경우 해당업체의 기술력과 미래 성장 전망 등을 따져 1차 협력업체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1차와 비슷한 품목을 생산하면서 경쟁 관계에 있는 업체도 심사대상에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또 2차 협력업체가 만든 부품이 1차 업체에서 중간 조립 과정을 거쳐 부품 전체로 납품될 경우에도 해당업체가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와 거래 실적을 갖췄다면 1차 업체에 준하는 방식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차 협력업체 위상을 1차 협력업체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높여 1차 협력업체에 돌아가는 혜택을 똑같이 누리게 하겠다는 목적이다.
이밖에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인상 비율만큼 납품 단가를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안도 제도적으로 마련키로 했다. 2차 협력업체 중 상당수가 원자재 가격의 갑작스러운 인상으로 울며 겨자 먹기로 납품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데 따른 것이다. 원가-납품 단가 연동제는 원자재 값이 큰 폭으로 오를 때마다 중소기업들이 정부에 요구해 온 방안이었다.
삼성은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종합적인 상생경영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