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절반 경영상황 개선 안됐다.

중소기업의 절반만이 지난해보다 경영상황이 개선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자와 조선 등 업종은 경기 회복세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는 2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달초 관계부처 합동으로 실시한 562개 중소기업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했다.

조사 결과 응답업체의 평균 매출액은 올해 상반기 기준 101억9600만원으로 지난해 전체 평균 174억7200만원, 2008년 평균 160억원 등과 비교할 때 호조를 보였다. 평균 가동률도 지난 4월 73.5%에서 5월 74.4%, 6월 75.5%로 점차적인 증가 추세였다.

하지만 응답 기업의 50.3%만이 경영상황이 개선됐다고 응답, 체감경기는 대기업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부품 분야가 내수·수출 호조로 전반적인 회복세인 반면, 조선과 전자 등 업종은 회복세가 지연됐다.

특히 범용부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이 많은 휴대폰이 상대적으로 회복이 늦었다.

지경부는 대기업의 수출실적이 두드러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 협력 중소기업 비중이 미미한 것도 실적 격차의 한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지경부는 또 중소기업의 체감경기 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을 △하도급 거래 △인력수급 △자금조달 애로 등 3가지였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달까지 관계부처 합동 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