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DDoS 공격 패턴이 취약한 대상을 찾아 이동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DDoS 공격을 완벽하게 막아내기 위해서는 첫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 기반의 DDoS 분산·우회 서비스를 제공 중인 씨디네트웍스(대표 고사무열)는 작년 7·7 대란 이후 최근까지의 DDoS의 공격 유형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대상 사이트에 처음 공격을 가해 방어가 이뤄질 경우 재공격을 하지 않고 공격 대상을 다른 사이트로 변경하는 현상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이전의 공격 유형은 시차를 두고 한 사이트를 계속 공격하는 형태였다.
첫 공격을 잘 막아내면 재공격을 받을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다는 의미다.
고사무열 사장은 “DDoS 공격은 첫 공격에 대해 완벽한 진압이 가능하도록 미리 방어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공격 대상 사이트로 지목되는 것을 막고, 공격 발생 시 대규모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최선의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회사 측은 최근 DDoS 공격은 갯 플루딩(Get Flooding)이나 CC 공격 방식이 줄고 트래픽 위주의 공격이라고 할 수 있는 UDP 플루딩 공격이 다시 증가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이 유형은 DDoS 공격이 시작됐던 초창기에 유행했던 공격이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kr
SW 많이 본 뉴스
-
1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사업, 삼성SDS 컨소시엄 수주
-
2
라히리 오라클 부사장 “오라클, 기업 AI 워크로드 지원에 있어 독보적”
-
3
오픈AI, GPT-5부터 일반·추론 통합한 AI 모델 제공
-
4
“한 번 당하고도 또”…개인정보 유출 '해피포인트 운영사'에 과징금 14억
-
5
삼성SDS 컨소,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수주…본사업 경쟁 귀추 주목
-
6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7
베스핀글로벌, AI 데이터 혁신 세미나 개최
-
8
인성정보, 사상 첫 내부 출신 조승필 대표이사 선임
-
9
경기도, '인공지능 5개년 종합계획' 수립 착수
-
10
올해 첫 망중립·강남 데이터센터 준공 앞뒀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