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보도/정부, 개도국 대상 표준화 전수 강화한다

 우리나라 수출 전략 대상국인 개발도상국에 제공하는 정부 차원의 표준화 연수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수출전략 지역에 우리 표준체계를 보급하기 위한 ‘국제 표준인프라 협력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그동안 기표원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협력해 일부 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단기 연수프로그램만 운영해 왔다. 하지만 올해부터 기술료 사업 예산을 투입, 표준 협력 프로그램을 한층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우리의 수출 전략지역인 아세안·중앙아시아·중남미·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국가의 기술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이들 국가의 표준체계가 미흡해 우리 기업의 진출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데 따른 것이다.

 일례로 국내 모 전자회사는 제품을 수출할 남미 국가에 인증제도가 없어 같은 품종의 아시아산 저가 불량제품으로 인해 수출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다른 모 에너지관련 기업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추진하려고 했으나, 측정표준 등 표준체계 미비로 사업추진에 차질이 발생했다.

 기표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 국가와 한국의 체계화된 표준과 적합성평가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해당 국가의 국가표준 및 강제인증 체계 정립, 시험평가능력 향상, 무역상기술장벽(TBT)에 대한 운영 노하우 등을 다각도로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40여개 중점 신흥시장 국가의 공무원·전문가를 국내로 초청해 교육을 실시하하는 것은 물론 우리 전문가를 현지에 장·단기로 파견해 우리나라의 표준체계를 적극적으로 전수한다는 전략이다.

 기표원은 사업의 첫 단계로 7일부터 18일까지 약 2주간 아시아·아프리카·남미·CIS 지역 8개국 16명의 표준 및 품질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연수를 실시하기로 했다.

 윤종구 기표원 국제표준협력과장은 “이 사업은 수출 전략지역에 대한 표준교육과 교류협력을 통해 표준체계를 전수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활문화를 이해시키는 문화적 외교활동으로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