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003/100330115619_1777396729_b.jpg)
“기술거래 시장을 창출해 나가겠습니다.”
이달 초 기술거래인들의 모임인 한국기술거래사회 신임 수장을 맡게 된 이재일 회장(53)은 “지난해 순수 기술거래사가 1000명을 넘어섰다”며 “기술거래를 양성화해 이들이 맘껏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기술거래사회 회원들이 이 회장에게 거는 기대도 바로 이 점이다. 과거 기술거래사 상당수는 변호사·공인회계사 등으로 본업이 따로 있었다. 당연히 기술거래 시장에 대한 욕심이 크지 않았던 것. 그러나 그동안 전업 기술거래사들이 꾸준히 배출됐다. 이들은 기술거래 시장이 필요했고, 시장을 키울 적합한 인물을 물색해왔던 것이다.
과학기술부 출신인 이 회장은 호남제주공공기술사업단장을 거쳤으며, 한중교류협회장, 중앙대 교수, 산학혁신전략연구소 대표 등을 맡고 있다. 무엇보다 호탕하고 적극적인 스타일로 기술거래사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시장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다.
그는 기술거래가 국내에서 부진했던 요인으로 그동안의 부적절한 평가 관행을 꼽았다.
“현재는 변호사, 변리사, 공인회계사 등이 기술평가와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유형 자산 평가 전문가입니다. 무형 자산인 기술의 거래에는 부적절합니다. 기술거래는 가치의 평가와 함께 기술의 기여도·충실도·완성도와 수요기업의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대안으로 “외국의 기술거래 모델을 벤치마킹해 한국형 모델을 개발하고, 기술거래사들이 이 모델을 익힐 수 있도록 협회 주도로 교육을 펼치겠다”고 이 회장은 소개했다.
그는 특히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술거래와 관련한 일련의 교육과정을 개발해 각 단계별로 필요한 교육을 상시 펼쳐, 기술거래가 전문적으로 이뤄지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하루 수십건씩 출원된 특허 가운데 10% 정도만 사업화되는 안타까운 현실을 지적한 이 회장은 “대학과 연구소에서는 기술개발을 전담하고, 실용화는 중소기업이 그리고 시장 확산은 대기업이 주도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기술거래사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임기 내 추진과제로 정부기관이 담당중인 기술거래사 등록 업무 위임, 국내외 기술거래사 모임과 네트워크 강화, 국제기술자격증 신설, 컨설턴트 자격에 기술거래사 추가 등을 펼치겠다고 밝힌 그는 “이를 위해 기술거래사가 뭉쳐야 한다”며 “올해를 기술거래사회의 도약 첫해로 여러 사업을 성사시키겠다”고 밝혔다.
김준배기자 joon@etnews.co.kr
사진=정동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