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IT정책포럼 `입체적 지원` 필요하다

 정부의 정보기술(IT) 정책 개발을 지원할 민간 싱크탱크인 ‘IT정책포럼’이 출범한다는 소식은 반가운 일이다. 지난해 청와대에 IT 특별보좌관이 임명된 이후 6개여월만에 드디어 나온 가시적인 성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포럼 맴버가 대부분 현장 최고경영자(CEO)로 구성되는 것도 고무적이다. 산업계 일선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 현실에 맞춰 살아있는 정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럼 규모도 150명을 넘는 역대 최대 규모여서 기대는 더욱 크다. 이명박 정부들어 다소 미진했던 IT정책이 이번 포럼을 계기로 일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서 위기감에 휩싸여 있다. 애플 ‘아이폰’ 열풍에 이은 ‘아이패드’ 발매로 국내 기업이 자칫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것이다. 포럼 출범은 이 때문에 남다른 의미가 있다.

 다소 침체된 IT코리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일종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IT대항해시대 수출전략, 4대강 살리기에 IT 접목, IT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공감대를 불러모은 어젠더도 많다. 문제는 앞으로 포럼에 참여할 민간 전문가들이 얼마나 사명감을 갖고 머리를 맞대느냐는 것이다. 이름만 걸어놓고 생색만 내려는 사람들이라면 일찌감치 포럼에서 발을 빼야 할 것이다.

 한가지 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포럼의 아이디어를 정부가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구슬도 꿰어야 보배다. 민간 전문가들이 먼저 의욕을 갖고 나섰다면 이젠 정부가 화답할 때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