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업계가 자동차 내수 진작을 위한 개별소비세 탄력세율 재적용을 요구하고 나섰다.
29일 한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윤여철 협회장을 비롯한 협회 사장단은 지난 26일 회의를 열고 세계적인 경제위기 여파로 위기에 직면해 있는 자동차산업의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에서 사장단은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로 올 1∼5월 자동차 내수는 8.6%, 수출은 35.7%가 감소했으며 생산은 29.4% 줄어드는 등 국내 자동차산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개별소비세 인하 탄력세율 적용이 종료되는 7월 이후 내수 동향을 주시해 탄력세율 재적용을 비롯한 자동차 내수활성화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완성차 내수 판매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노후차 교체 시 세금 감면, 개소세 탄력적용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개소세 탄력 적용의 경우 6월 중 출고 차량까지 해당돼 내달부터는 소비자 혜택이 중단될 예정이다.
사장단은 또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기본법안’ 제정 추진과 관련해 “자동차 업계에 부담을 주는 새로운 규제 도입보다는 업계와 소비자에게 익숙한 현행 제도를 통해 온실가스 관리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한미 FTA의 조속한 비준 및 발효를 촉구함은 물론 한일 FTA에 대해서도 각국의 산업여건에 따른 신중한 대처를 요청했다. 이들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건의서를 정부 관련부처에 제출했다.
이날 회의에는 윤여철 회장을 비롯해 서용종 기아자동차 사장, 윤정호 르노삼성자동차 부사장, 이성상 지엠대우 전무, 허문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상근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kr
전자 많이 본 뉴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