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특보 6월 선정` 물 건너갈 듯

 청와대 IT특보 선정작업이 6월을 넘길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4월 22일 IT기업인과의 만남에서 ‘IT 컨트롤타워를 청와대에 둘 것을 검토하도록 하겠다’는 발언 이후 시작된 IT특보 선정 작업이 우여곡절을 겪으며 두 달을 넘기고 있다. 각종 현안에 밀려 IT특보를 신설하겠다는 청와대 측의 약속이 지연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노무현 대통령 서거와 북핵 사태, 그리고 한나라당 당·정·청 쇄신 요구 등으로 IT특보 선정이 후순위로 밀렸다”며 “6월 중순 이 대통령의 방미 등 남은 일정 등을 감안하면 6월 내 선정은 조금 어렵지 않겠느냐”고 7일 밝혔다. 또 다른 청와대 핵심 관계자도 “현재 검증 작업을 진행 중”이라면서도 “시기는 언제라고 못박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IT특보 선정과정에서 극심한 인물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지난달 각계에서 추천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유경험자 등을 포함해 3, 4배수로 후보를 압축한 바 있으나 인사추천위원회에서 부적합 판단을 내려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다. 청와대 측은 “좋은 사람을 찾고 있으나 생각보다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대통령과 직접 대면하고 업계를 아우를 수 있는 최적의 인물을 찾다보니 늦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표면적인 이유와는 달리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 문제와 참모진의 의욕 부족을 탓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국정기획수석실 방통비서관과 경제수석실 지식경제비서관이 IT산업을 나눠 담당하는 탓에 상대측 후보를 견제하는 움직임이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현재 청와대 핵심 인사들이 인수위원회에서 정보통신부 해체를 결정한 장본인인만큼 IT 컨트롤타워에 거부감이 여전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청와대 내에서는 ‘통신서비스, 반도체, 휴대폰 등이 과연 IT산업 범주에 속하는가’ 하는 질문이 나올 정도로 IT산업의 정의에서조차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의 IT 컨트롤타워 청와대 구축 지시로 고무됐던 IT업계는 과연 IT특보가 제대로 운영될지 회의감을 표시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의 청와대 시스템과 인사 구성을 감안하면 IT특보를 둔다 한들 과연 제대로 IT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특보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러한 문제점이 특보 인선에서 그대로 노출되는 듯한 느낌”이라고 실망감을 표시했다.

 유형준기자 hjyo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