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종수 기자=주요 대형 마트의 매출이 3개월 만에 미미하게나마 작년 동월대비 증가세로 돌아섰다.
15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3대 마트’인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4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0.1% 늘어났다.
대형 마트의 매출은 올해 1월 극심한 경기침체에도 설 효과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16.8% 늘었으나 2월에는 무려 20.3%나 급감했고 지난달에도 0.8% 감소세를 나타냈다.
‘3대 백화점’인 롯데.현대.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4월에 2.8% 증가세를 나타내며 두 달 연속 늘었으나 증가율은 3월(4.5%)에 비하면 꺾인 모습이었다.
상품군별 판매동향을 보면 대형 마트의 경우 계속되는 마케팅 행사와 가족 단위 나들이 수요의 증가로 스포츠용품(5.2%), 식품(4.7%), 가정생활부문(2.0%)의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나 가전(-11.6%), 패션.의류(-8.4%) 등 내구소비재의 매출은 여전히 부진했다.
백화점도 식품(8.4%)과 잡화(7.2%), 아동.스포츠(2.7%)의 판매는 신장됐지만 여성정장(-8.6%), 남성의류(-7.1%), 가정용품(-5.8%)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불황 속에서도 일본 관광객의 증가 등에 힘입어 고성장을 거듭하던 명품 매출은 증가율이 19.3%로 여전히 백화점 상품군 가운데 수위를 달렸으나 2월(47.7%), 3월(23.6%)에 비하면 확연히 낮아졌다.
구매건수는 대형 마트가 2.5% 감소한 데 비해 백화점은 3.5% 늘었고 반대로 구매단가는 대형 마트가 2.6% 높아진 데 비해 백화점은 0.6% 줄어들었다.
지경부는 “소비자 심리 등 체감경기는 전월대비 큰 폭 상승했으나 대형 마트와 백화점의 매출 증감률은 각각 소폭 상승하거나 하락해 유사한 추세를 유지했다”고 진단했다.
jsking@yna.co.kr
플랫폼유통 많이 본 뉴스
-
1
정용진 회장, 모친 이명희 이마트 지분 전량 매수…지분율 28.56% 확대
-
2
“롯데리아 부활·컨세션 사업 호조”…롯데GRS, '1조 클럽' 재입성 눈앞
-
3
아모레퍼시픽, 'CES 화제' 뷰티 기기 내달 출시…“신제품 출시·글로벌 판매 채널 확대”
-
4
정용진 책임 경영 의지 보였다…밸류업 이후 지분 매입 '눈길'
-
5
[네이버 쇼핑톡톡] 나만의 공간 위한 아이템 만난다...세일계 최강자 '네이버 강세일'
-
6
카카오, 지난해 매출 7조8738억원…전년비 4.2%↑
-
7
카카오, 오픈AI와 개발 'AI 비서' 연내 공개
-
8
29CM 메인에 '뷰티' 탭 오픈…패션플랫폼, 뷰티 강화 러시
-
9
SOOP, 13년 연속 최대 매출 경신…글로벌로 영토 확장
-
10
네이버 치지직, 하얼빈 아시안게임 중계 '특수'…신규 이용자 10배 증가
브랜드 뉴스룸
×